김정은 왜 뿔났나.. 도무지 모를 '모란봉 악단 미스터리'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가 만든 '친위 걸그룹' 모란봉악단의 12일 중국 베이징 공연이 개막 3시간을 앞두고 돌연 취소됐다.
모란봉악단은 이날 오후 7시 30분(현지 시각) 베이징 국가대극원에서 첫 해외 공연을 할 예정이었으나, 오후 4시 7분쯤 북한 고려항공편을 이용해 베이징을 떠났다. 이들은 이날 정오쯤 굳은 표정으로 숙소인 베이징 민쭈(民族)호텔을 나와 2㎞쯤 떨어진 공연장으로 가지 않고 서우두(首都) 공항으로 직행했다. 모란봉악단과 함께 공연하려던 공훈국가합창단도 국가대극원에서 예행연습을 하다가 부랴부랴 짐을 싸 오후 8시 열차 편으로 귀국길에 올랐다.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 "12일부터 (3일간) 진행할 예정이던 북한 예술단 공연이 무산됐다"며 "공작(업무) 측면에서 서로 간의 소통 연결에 (취소) 원인이 있다"고 밝혔다. '소통 문제'가 무엇인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김정은 공연단'의 베이징 첫 무대가 전격 취소됨에 따라 해빙 분위기이던 북·중 관계가 다시 냉각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정은 방중(訪中)도 당분간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모란봉악단은 김정은의 '친솔(親率·직접 챙김) 악단'인 만큼 공연 취소는 김정은이 직접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선전 책임자인 김기남 당 비서가 직접 평양에서 공연단을 배웅했고, 중국 관영 매체는 "미녀 공연단이 베이징에 왔다"며 호들갑을 떨었다. 북·중 모두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던 공연이 갑자기 무산된 이유는 아직 불분명하다. 그러나 베이징 외교가에선 김정은의 "수소폭탄 보유" 발언과 중국 측 공연 관람 인사의 '급(級)'을 놓고 북·중이 충돌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외교 소식통은 "김정은의 '수소폭탄 보유' 언급 이후 중국 측이 공연 관람 인사의 급을 최고 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에서 그 아래로 낮췄다는 이야기가 있다"며 "김정은 입장에선 무시당했다는 느낌을 받았을 것"이라고 했다.
중국 지도부로선 김정은 발언이 핵 문제와 관련해 또 중국의 뒤통수를 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김정은은 지난 10일 모란봉악단이 베이징에 도착하던 날 "우리는 수소탄(수소폭탄)의 폭음을 울릴 수 있는 핵보유국"이라고 말했다. 중국 지도부는 지난 10월 김정은이 류윈산을 만났을 때 "핵개발 수위를 높이지 않겠다"고 약속한 것을 믿고 관계 개선에 속도를 냈는데, 김정은이 '수소폭탄' 운운하자 분노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중국 외교부는 김정은 발언에 대해 "관련국(북한)이 정세 완화에 도움이 되는 일을 더 많이 하기를 바란다"며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김정은은 2013년 2월 시진핑의 국가주석 등극을 코앞에 두고 3차 핵실험을 강행해 시 주석 체면에 상처를 냈었다. 김흥규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장은 "김정은 발언 직후 중국 최고 지도부가 '김정은 공연단'을 향해 손뼉을 친다면 북한 핵개발을 지지하는 듯한 신호를 보내는 꼴이 될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위샤오화 중국국제문제연구소 아태협력연구부 주임은 이날 홍콩 명보에 "수소폭탄은 미·북 간 문제"라며 "모란봉악단 공연 취소의 원인은 아닐 것"이라고 했다. 둬웨이(多維) 등 중화권 매체는 "모란봉악단 단원 중 2명이 망명을 시도하다가 적발된 것 같다", "북한 장거리로켓 발사 장면이 등장하고, 미국을 승냥이로 표현하는 공연 내용에 중국 측이 제동을 걸었을 것", "김정은 옛 애인으로 알려진 현송월 모란봉악단장의 자유분방한 발언과 그녀에 대한 해외 매체의 과도한 관심이 김정은 심기를 건드렸다" 등의 분석을 내놓았다.
12일 저녁 공연이 취소된 사실을 모르고 국가대극원에 도착한 중국 관람객 100여명은 김정은과 북한을 맹비난했다. 한 관람객은 "진싼팡(金三胖·'김정은' 의미) 때문에 신경질 나 죽겠다"며 "공연 당일 제멋대로 취소하는 경우가 어디 있느냐"고 했다. '진싼팡'은 '김씨 세 번째 뚱보'라는 의미로 김정은을 비하할 때 쓰는 말이다. 중국 당국은 최근 북한과의 관계를 고려해 '진싼팡' '싼팡쯔(三胖子·세 번째 뚱보놈)' 등을 인터넷 검색 금지어로 묶어놨다. 그러나 이날 헛걸음을 한 관람객들은 "진싼팡은 제정신이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중년 남성은 허탈한 표정으로 "북한이 중국 얼굴에 먹칠한 것"이라며 "정말 신뢰할 수 없는 나라"라고 했다. 이번 공연 무산으로 북한에 대한 중국인들의 불신은 더욱 깊어지는 분위기다. 이는 양국 관계 개선에도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날 공연을 주관한 당 대외연락부와 선전부는 북·중 우호와 관련 있는 인사 2000여명에게만 입장권을 보냈다. 일반인에게는 표를 판매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모란봉악단 공연은 특권층만의 잔치'라는 비판도 받았다. 그러나 공연장에는 1만위안(약 180만원)을 주고 암표상에게 표를 샀다는 관람객과 표를 양도받아 왔다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모란봉악단 중국공연 취소 북중관계 악화될 듯" NY타임스
- 롯데리아 새우버거 수입산 패티서 항생제 검출…전량 폐기 결정
- “경북 산불 피해 주민 힘내세요”… 대구·경북 기업과 기관 기부 이어져
- South Korea overtakes France to become top cosmetics exporter to US
- 구조물 추락 사고 애도 기간… 1일 프로야구 전 경기 취소, 2일 재개
- 발달장애 딸 돌보는 지적장애 父…세수조차 이들에겐 고통이었다
- 카카오게임즈, 플랫폼 확대로 ‘글로벌 종합 게임사’ 도약 나서
- 전자칠판 납품 돕고 리베이트로 2억2000만원 챙긴 인천시의원…검찰 송치
- “트럼프 관세로 북미 車 생산량 최대 20% 감소 전망”
- 光州 청소년 도박 상담 건수 급증…“매년 예방교육” 조례 개정안 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