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용납 않겠다"..김무성·서청원 이유 있는 정면충돌

2016. 2. 18. 18:4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새누리 공천룰 갈등 점입가경

“똑같은 말을 반복시키는데 공천관리위원회가 당헌·당규에서 벗어난 행위를 제가 절대 용납하지 않겠다.”(김무성 대표)

“앞으로 그런 (김 대표의) 언행을 제가 분명히 용납하지 않겠다.”(서청원 최고위원)

새누리당 이한구 공관위원장의 시·도별 우선추천지역 최대 3곳 선정 발언에서 본격 점화된 계파갈등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김 대표와 친박(친박근혜)계 좌장격인 서 최고위원은 18일 공개 석상에서 얼굴을 붉히며 충돌했다. 친박, 비박 진영 간 충돌은 총선 후 당권·대권 경쟁을 염두에 둔 세 확산을 위한 권력다툼이라는 점에서 접점을 찾기 어려워 보인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왼쪽)가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서청원 최고위원과 공천방식을 놓고 언쟁 벌인 뒤 나란히 자리에 앉아 있다.
남정탁 기자
◆당 내홍 점입가경

회의 내내 입을 굳게 닫았던 김 대표는 원유철 원내대표와 이인제 최고위원이 공관위의 독자성을 강조하며 이 위원장의 손을 들어주자 침묵을 깼다. 그는 “저는 당 대표로서 공관위가 당헌·당규의 입법 취지나 공천룰 범위를 벗어나는 행위를 제어할 의무가 있고 앞으로 이것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못박았다. 그러자 서 최고위원이 곧바로 반격했다. 그는 “당이 대표 독단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설전 끝에 “그만하시라”며 회의를 종료하고 자리에서 일어났다.

새누리당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오른쪽)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공관위 전체회의에서 황진하 부위원장으로부터 공천룰 발표와 관련한 유감 표명을 요구받자 회의를 비공개로 전환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2차 충돌은 공관위 회의에서 벌여졌다. 비박계 황진하 총장과 홍문표 사무1부총장이 전날 이 위원장의 공천룰 발표에 대한 유감 표명을 촉구했다. 그러나 이 위원장은 “(이번 갈등은) 개혁을 하겠다는 사람과 기득권을 수호하는 사람 간의 문제”라며 거부했다.

비박계는 2014년 당헌·당규 개정을 위한 상임전국위원회 발언록을 공개했다. 발언록에 따르면 당시 친박계는 우선추천지역 선정과 관련해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경우”(유기준 최고위원), “전략지역과 다른 개념으로 도저히 경쟁력이 없어 선거에서 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최경환 원내대표) 등으로 제한했다. 시·도별 최대 3곳을 우선추천지역으로 지정하겠다는 이 위원장의 발언은 당시 취지에 반한다는 것이다.

안보·경제 위기에도 집권당은 공천 내분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왼쪽)가 1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 룰을 놓고 친박 좌장인 서청원 최고위원(오른쪽)과 거친 설전을 벌인 후 자리를 박차며 일어나고 있다.
연합뉴스

◆계파 세 확장 경쟁… 비례 문제도 복병

양측 간 공천룰 격돌 이면에는 각자 우군 확보를 위한 셈법이 깔려있다. 당내 선거에서 번번이 패배한 친박계는 이번 총선을 통해 세를 불려 당 대표와 대선후보 경선에서 승리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서는 비박계가 우위를 점하고 있는 당내 세력구도를 바꿔야 한다. 친박계는 텃밭인 대구와 서울 강남 등에서 비박계 의원들을 배제하고 대신 친박 후보들을 공천하려 한다는 분석이다.

이 위원장은 이날 공관위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정치적 소수자의 범위를 묻는 질문에 “(당규에) 여성, 장애인 등이라고 되어 있다. ‘등’은 폼으로 붙여 놓은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우선추천지역에 공천할 대상에 청년, 정치신인 등으로 확대할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여성과 장애인에 한정하는 비박계의 해석과 충돌한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1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룰 논란과 관련해 자신을 겨냥한 최고위원들의 발언을 들으며 메모지에 ‘공천룰에 벗어나는 행위를 용납하지 않겠다’고 적고 있다.
연합뉴스
차기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김 대표는 오래전부터 상향식 공천을 금과옥조로 여겨왔다. 하지만 친박계에서는 “현역 의원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룰로, 공천을 사실상 보장해 주면 (현역 의원들이) 자신을 지지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비례대표 공천 문제도 숨은 복병이다. 김 대표는 최근 “비례대표 공모도 상향식으로 하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친박계 관계자는 “비례대표 문제도 김 대표와 청와대가 논의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달중 기자 dal@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