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이번엔 로또복권 입찰 논란.. 安측 "미담을 악의적으로 왜곡"

곽창렬 기자 2012. 8. 4. 03: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민銀 사외이사 사임 직후 안랩 낀 컨소시엄, 사업 수주.. 安, 1년 뒤 사외이사직 복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국민은행 의 사외이사로 재직하던 2000년대 초반, 안철수연구소 (현 안랩)가 국민은행이 주관하는 온라인복권(로또복권) 사업에 입찰했던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당시 안 원장은 논란을 의식해 사외이사직에서 물러났지만, 안철수연구소가 참여한 KLS 컨소시엄은 안 원장이 사임한 직후 사업을 수주했다.

3일 정치권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안 원장은 2001년 3월 국민은행(주택은행)의 사외이사로 임명됐다. 국민은행은 당시 온라인복권 위탁사업 운영기관으로, 2000년부터 사업자 선정작업을 벌이고 있었다.

당시 입찰 경쟁자들은 안 원장이 국민은행 사외이사인 점을 문제 삼았고, 안 원장은 2002년 1월 19일 스스로 이사직에서 물러났다. 그런데 안 원장이 사퇴한 지 9일 만에 국민은행은 KLS 컨소시엄을 복권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고, 안 원장은 그로부터 1년이 지난 2003년 3월 다시 국민은행 사외이사직에 복귀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홍일표 대변인은 "안 원장의 당시 행동은 그가 그토록 강조하는 공정성과는 배치되는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논란이 일자 안 원장 측은 "미담기사를 그렇게 악의적인 기사로 바꿔 쓸 수 있는지 처음 알았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안 원장 측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사외이사는 정보를 얻거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가 아니며, 당시 안철수연구소가 보안업계 대표적 회사였기 때문에 인터넷복권 사업에 참여한 것"이라며 "안 원장은 (도덕적) 결벽증이 있어서 그럴 필요가 없는데도 일부러 사외이사직을 그만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안 원장이 스스로가 사외이사로 있는 은행이 주관하는 이권 사업에, 자신이 운영하는 회사가 응하도록 한 것 자체가 공정성에 위배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안 원장이 2000년대 초반 대기업이 은행업에 진출하려던 움직임에 동참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바 있어 논란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 재벌 2·3세 낀 V소사이어티, 安(안철수)에 걸림돌 되나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