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이번엔 로또복권 입찰 논란.. 安측 "미담을 악의적으로 왜곡"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국민은행 의 사외이사로 재직하던 2000년대 초반, 안철수연구소 (현 안랩)가 국민은행이 주관하는 온라인복권(로또복권) 사업에 입찰했던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당시 안 원장은 논란을 의식해 사외이사직에서 물러났지만, 안철수연구소가 참여한 KLS 컨소시엄은 안 원장이 사임한 직후 사업을 수주했다.
3일 정치권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안 원장은 2001년 3월 국민은행(주택은행)의 사외이사로 임명됐다. 국민은행은 당시 온라인복권 위탁사업 운영기관으로, 2000년부터 사업자 선정작업을 벌이고 있었다.
당시 입찰 경쟁자들은 안 원장이 국민은행 사외이사인 점을 문제 삼았고, 안 원장은 2002년 1월 19일 스스로 이사직에서 물러났다. 그런데 안 원장이 사퇴한 지 9일 만에 국민은행은 KLS 컨소시엄을 복권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고, 안 원장은 그로부터 1년이 지난 2003년 3월 다시 국민은행 사외이사직에 복귀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홍일표 대변인은 "안 원장의 당시 행동은 그가 그토록 강조하는 공정성과는 배치되는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논란이 일자 안 원장 측은 "미담기사를 그렇게 악의적인 기사로 바꿔 쓸 수 있는지 처음 알았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안 원장 측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사외이사는 정보를 얻거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가 아니며, 당시 안철수연구소가 보안업계 대표적 회사였기 때문에 인터넷복권 사업에 참여한 것"이라며 "안 원장은 (도덕적) 결벽증이 있어서 그럴 필요가 없는데도 일부러 사외이사직을 그만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안 원장이 스스로가 사외이사로 있는 은행이 주관하는 이권 사업에, 자신이 운영하는 회사가 응하도록 한 것 자체가 공정성에 위배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안 원장이 2000년대 초반 대기업이 은행업에 진출하려던 움직임에 동참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바 있어 논란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 ㆍ재벌 2·3세 낀 V소사이어티, 安(안철수)에 걸림돌 되나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펌 굴복시켜 10억 달러 뜯은 트럼프… “여기가 DEI 본산”
- 노화를 늦추는 가장 간편한 식사 방법
- 귀를 막지 않아 청력 지키면서 안전한 골전도 이어폰, 2만원대 초특가
- 목포 갯벌에서 잡는 즉시 포장, 산낙지 한 마리 5760원 특가 공구
- 한경희 고온 스팀 살균 청소기, 8만원 대 특가 공구
- 혈당·혈행·혈압 3중 관리 ‘코큐텐’ 1개월 분 8900원 초특가
- [TV조선] ‘레전드 심수봉’ 특집
- 한국 우주 수장 워싱턴 출장… 일거수일투족이 美정부 보고 대상
- 트럼프 “하버드, 개혁 거부하면 대학의 ‘면세 지위’ 박탈”
- [제29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두 번째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