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조단, 천안함 화약성분 어뢰로 결론"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파편, 고폭약 검출'독일제 어뢰' 여부 규명..미.중 전문가 입회 검토(서울=연합뉴스) 김귀근 이상헌 기자 = 민.군 합동조사단은 7일 천안함의 선체 등에서 검출한 화약성분이 어뢰 탄두가 폭발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사실상 결론 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고위 관계자는 이날 "천안함 연돌(연통)과 절단면, 함미 절단면과 맞닿은 해저에서 각각 검출된 화약성분은 모두 TNT보다 위력이 강한 고폭약인 'RDX'(백색.결정성.비수용성 강력폭약 성분)인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이 화약은 기뢰가 아닌 어뢰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합조단에서 어뢰 폭발로 결론을 내린 상태"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절단면 근처에서 3~4개의 작은 합금 파편을 발견했다"면서 "이는 어뢰의 외피를 구성하는 알루미늄과 마그네슘 합금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합조단은 오는 20일 이전에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조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합조단은 천안함 근처에서 터진 어뢰가 독일제일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하고 정밀 분석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합금 파편이 중국과 러시아, 독일 제품인지를 정밀 분석 중"이라며 "북한이 자신들의 소행임을 감추기 위해 우리 나라에서 사용하는 독일제 어뢰를 사용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 해군의 209급 잠수함에는 1발당 8억~10억원 가량인 독일제 'SUT' 선유도(와이어 가이드) 중어뢰가 탑재되어 있다.
또 정부는 합조단 조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국과 러시아의 주한 무관 또는 전문가들을 초청해 두 동강 난 천안함을 참관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합조단 조사결과 발표를 전후로 중국과 러시아 전문가들을 평택 2함대사령부로 초청해 천안함의 함수와 함미 절단면 참관 기회를 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지난 6일 서울에서 열린 제25차 한미 안보정책구상(SPI) 회의에서 미측 수석대표인 마이클 쉬퍼 국방부 동아시아 부차관보는 천안함 침몰원인 규명에 언급, "한국이 진행 중인 조사과정에 상당한 신뢰성이 있다"고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의에서 한미는 천안함 조사결과에 따라 필요한 '안보조치'를 강구해 나가기 위한 정책 공조와 협력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threek@yna.co.krhoneybee@yna.co.kr <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포토 매거진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한.미, '천안함 대응' 협의
- 日언론 "中, 안이한 北지원 문제"
- 롤리스 "천안함, 전작권 전환 연기에 오용안돼"
- 美 '천안함-6자회담' 전략 윤곽
- 한미 "천안함 조사결과 따른 안보조치 강구"
- 프란치스코 교황 무덤 일반 공개…성모대성전에 긴 줄 | 연합뉴스
- 러너들이 점령한 서울의 주말…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연합뉴스
- '이재명이냐 아니냐'…대한민국 명운 가를 대선본선 레이스 개막 | 연합뉴스
- 대법 '이재명 사건' 결론 언제…대선후보 등록 전? 5월22일? | 연합뉴스
- 검찰, 노태우 비자금 의혹 계좌추적…300억원 실체 드러날까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