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일병 사건, 군 수뇌부 보고누락 잠정결론
[앵커]
'윤 일병 사건' 보고체계를 감사 중인 국방부가 당시 상세한 사건 내용이 군 수뇌부에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잠정 결론 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군 당국이 '꼬리 자르기'를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영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5일부터 '윤 일병 사건'과 관련해 군의 축소, 은폐 보고 의혹을 감사하고 있는 국방부 감사관실.
감사관실은 이번 사건의 상세 내용이 당시 김관진 국방장관과 권오성 육군참모총장에게 보고되지 않았다는 잠정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군 소식통은 "국방부 감사관이 한민구 장관에게 감사 과정을 중간 보고했다"며 "당시 김 장관과 권 총장에게 상세내용은 보고되지 않은 것 같다는 취지의 보고를 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습니다.
국방부는 그동안 김 전 장관이 이번 사건 내용을 자세히 보고받지 못했다는 입장을 밝혀왔고 감사관실도 유사한 결론을 내린 것입니다.
<김민석 / 국방부 대변인> "(김관진 장관에게 기소 내용을) 보고한 적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병사들 기소하는 것은 장관에게 보고하지 않습니다." 육군 보고 과정에서도 권 전 총장에게는 내용이 자세히 전달되지 않았다는 감사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보고 누락으로 최종 결론이 날 경우 '꼬리 자르기'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인명을 앗아간 중요사건의 경우 헌병인 국방부 조사본부 등을 통해 장관에게 알리도록 돼있는데다 14년만에 발생한 폭행 사망사건이 국방장관에게 자세히 보고되지 않았다는 것이 선뜻 납득이 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특히 김 전 장관이 이후 특별 군기강 확립 대책회의를 주재한 점 등으로 미뤄 사건의 전모를 몰랐다는 설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뉴스Y 정영빈입니다.
(끝)
▶ 이슈에 투표하고 토론하기 '궁금한배틀Y'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부통령 그린란드 방문… "덴마크, 안보투자 안해"
- 상호관세 맞으면 '25%+α'…자동차·철강 등 韓기업들 초비상
- 서울 봄축제에 1천959만명 모인다…서울시, 인파관리 강화
- 윤상현, 민주 '줄탄핵' 압박에 "위헌정당 해산 심판 받아야"
- 한중일 통상장관, 3국 경제 협력 확대키로…"국제사회 큰 울림"
- 경기 하남시 아파트 4층 옥상서 불…인명피해 없어
- 4·2 재보궐 사전투표 마무리…투표율 7.94%
- 김문수, 野초선들 국무위원 줄탄핵 언급에 "적극 맞서겠다"
- 커피·맥주 등 40개 식품기업 가격 줄줄이 인상…먹거리 물가상승률 치솟나
- 전자동의 시스템 본격 도입… 1기 신도시 정비사업 '탄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