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창조경제 노하우 개도국에 전수"
|
박근혜 대통령이 1일 오전(현지 시간) 유네스코 본부를 방문해 연설을 마친 뒤 이리나 보코바 사무총장과 악수하고 있다. 파리=변영욱 기자 cut@donga.com |
박 대통령은 이날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유네스코 본부를 방문해 “폭력적 극단주의와 문화-종교 간 갈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해 나갈 해법을 함께 찾아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20분간 진행된 유네스코 특별연설은 한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이다. ‘평화의 방벽’은 ‘전쟁은 인간의 마음에서 비롯된 것으로 평화의 방벽을 세워야 할 곳도 인간의 마음’이라는 유네스코 헌장상의 문구다.
박 대통령은 9월 유엔총회 관련 회의에서 밝힌 ‘소녀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한 구상(Better Life for Girls)’을 위해 15개 개발도상국에 2억 달러를 지원하고 ‘세계시민교육’을 강화하는 데 적극 동참하겠다고 약속했다.
박 대통령은 유네스코와의 과학 분야 협력을 위해 ‘보다 나은 삶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구상’도 밝혔다. 지금까지는 새마을운동 등 과거 개발 경험을 개도국과 공유했는데 앞으로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의 개발 경험을 공유하겠다는 것. 현재의 개발 경험은 창조경제를 통한 일자리 창출로 향후 5년간 2억 달러를 개도국에 무상 원조하며 창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핵 개발과 인권을 지역 불안정과 평화를 위협하는 대표적 사례로 꼽았다. 이어 ‘평화통일’이 해법임을 강조하며 이를 위해 ‘개성 만월대 발굴 사업’과 ‘남북 공동 유물 전시회 개최’ 등 문화를 통한 민족 동질성 회복을 강화해 나갈 것임을 강조했다.
2박 3일간의 파리 방문에서 관심을 끌었던 대목은 박 대통령이 강조한 ‘의제’였다. ‘기후변화’ 대응에 동참하고 세계적인 ‘인성교육’에 앞장서겠다고 한 것이다. 이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밀고 있는 어젠다를 지원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반 총장은 기후변화, 교육, 여성 등의 이슈에 관심이 많다. 두 사람은 ‘기후변화’와 ‘교육’ 어젠다를 두고 교감하는 모양새다. 반 총장은 5월 인천 송도에서 열린 ‘세계교육포럼(WEF)’ 참석차 방한해 박 대통령과 기후변화 등에 대해 논의했고 박 대통령은 9월 유엔총회에 참석해 반 총장과 수차례 만나면서 ‘연대설’까지 나돌았다. 11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동아시아정상회의에서 만난 두 사람은 이번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정상회의장에서 다시 만났다.
이날 오후 체코 프라하로 이동한 박 대통령은 4일까지 머물며 한-체코 정상회담과 중유럽 4개국 협의체인 비세그라드 그룹과의 정상회의 등에 참석한다.
파리=박민혁 기자 mhpark@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朴대통령, 파리 테러 현장 찾아 헌화
- 美투자 韓기업들, 샌프란 인구만큼 일자리 만들었다
- 헌재 2人 임기만료 앞두고, 與 “정부와 후임지명 논의”… 野 “韓 대행이 임명 금지”
- 산불 피해 컸던 美, 미리 나무 솎아내 확산 막아
- [단독]“화장장 못 구해서” 3일장 힘든 시대… 부산 21%-서울 46% 그쳐
- [단독]성폭력 고소인 “장제원 권력 무서워 10년 참아”
- [오늘과 내일/정원수]‘헌재 정신의 종말’을 부추기는 정치
- 삶의 터전 잃은 이재민들 “떠나겠다”… 마을 통째 사라질 위기
- 대출까지 받게해 갈취, 피싱 1인당 3000만원 피해
- [사설]A노선은 ‘반쪽 개통’, B·C노선은 첫 삽도 못 뜬 ‘GTX 희망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