엇갈리는 與 투톱..이정현 '사면초가', 정진석 볼륨UP
(서울=뉴스1) 김영신 기자 = 이른바 '최순실 게이트' 파문과 관련해 이정현 대표와 정진석 원내대표가 일제히 수습에 매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이번 사태에 대응하는 방식을 놓고 당 안팎의 평가가 크게 엇갈리고 있다.
이 대표는 당초 최순실씨 국정개입 의혹이 불거졌던 초반만 해도 "정치공세"라고 일축하며 박 대통령을 옹호했지만 최씨가 국정 전반에 깊숙이 개입했다는 정황과 증거들이 언론을 통해 속속 공개되며 상당히 곤란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
지난 25일 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후에도 논란이 더욱 거세지자 이 대표는 "대통령 사과로 끝날 문제가 아니다"면서 청와대와 정부의 전면 인적 개편을 박 대통령에게 요구했다.
그러나 친박(親박근혜)계이면서 박 대통령의 측근, 청와대 핵심 참모 출신인 이 대표는 이번 파문에 직간접적인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 당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다. 당장 당내에서는 이 대표가 사퇴해야한다는 요구가 분출되고 있어 사면초가에 빠진 형국이다.
이런 이 대표와 달리 정 원내대표는 이번 파문에서 강경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일찍부터 우병우 민정수석의 즉각 사퇴를 촉구해온 정 원내대표는 최씨 파문이 커지자 공개석상에서 박 대통령의 입장표명을 촉구했다.
정 원내대표는 친박계는 부정적이었던 '최순실 특검'에 대해서도 전향적인 입장을 취했고, 전날 의원총회에서 특검이 당론으로 추인됐다.
지도부 총책임론 측면에서는 정 원내대표도 자유롭지는 못하지만, 계파나 박 대통령과의 관계 등에서 '빚'이 없다는 점은 정 원내대표가 청와대와 박 대통령을 향해서도 당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배경으로 꼽힌다.
정 원내대표는 27일 기자간담회에서도 지도부 책임론에 대해 "자리에 연연할 생각이 없다"면서 "그러나 이번 파문이 국정 마비로 가서는 안된다"고 집권여당 원내사령탑으로서의 역할을 자처했다. 최순실 게이트가 5년 대통령 단임제 폐해를 드러낸다면서 이번 일을 개헌의 계기로 삼아야한다고도 강조했다.
이 대표는 이날 '침묵모드'였다. 오전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긴 했지만 최고위는 처음부터 비공개로 진행됐고 이 대표는 비공개 회의에서 당 사회복지특위 등 일상 당무에 대해서만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의 진퇴 여부와 관련해 한 당직자는 "이 대표가 대통령에게 청와대 인적쇄신을 요구했고 특검이 당론으로 채택된 만큼 일단 대통령의 결단과 특검 관련 여야 협상을 지켜봐야한다"면서 "수습이 안된 채로 대표가 당장 사퇴하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eriwhat@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박지원 "우병우와 검찰이 대통령을 죽였다"
- 최순실 "PC유출 수사해야"..인터뷰가 수사 가이드라인?
- '남자 화장실' 옆칸 남성 보며 자위행위 20대男
- 여중생이 학교에서 친구 10여명 성추행..격리 조치
- 음란동영상 찍힌 746명 두번 울린 가짜 美보안업체
- 지하철 노약자석 점령한 남성, 비닐장갑 끼고 '쌈 먹방' 추태[영상]
- "바람피운 남친과 결혼하겠다는 친구 '손절'…내가 너무한 건가" 황당
- 산후우울증 탓 친정으로 도피…남편 "아이 못 볼 줄 알라" 협박
- 드럼통 들어간 나경원 "이재명, 아프긴 아팠나 봐…그가 되면 그 공포는"
- "성욕 채우려고"…우체국 여직원에 '썼던 콘돔' 담긴 봉투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