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문재인, 北인권결의안 찬성 의견 냈다"
|
김 의원은 송 전 장관의 회고록을 둘러싼 논란이 번지자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자처하고 기자단에 지난 2012년12월8일 KBS 1TV에서 진행됐던 ‘심야토론’ 영상을 공개하며 당시 패널로 출연했던 홍익표 더민주 의원의 말을 빌어 문 전 대표가 인권결의안에 찬성했음을 밝혔다. 해당 영상에서 홍 의원은 “확인해보라. 당시(2007년) 문재인 후보는 논의과정에서 북한인권결의안에 찬성 결의를 냈다”고 발언했다.
김 의원은 “문 전 대표는 당시 찬성을 했는지 기억은 못하고 있다”면서 “확인되지 않은 사실로 상대 정치 지도자에 대해 ‘내통’이라는 표현을 쓰는 건 정치적으로 있을 수 없다. 그 부분에 대해서는 문 전 대표가 대단히 분노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북한 인권결의안에 대해) 기권을 먼저 결정하고 이 사항을 남북정상회담 직후 남북간 다양한 대화가 이뤄지는 시점에 북에 전달한 것”이라고 송 전 장관의 회고록 내용을 전면 반박했다. 송 전 장관은 회고록 ‘빙하는 움직인다’를 통해 2007년 북한인권결의안 표결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었던 문 전 대표가 북한의 의견을 구한 뒤 기권결정을 내리는데 개입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김 의원은 “유엔(UN) 인권결의안에 대한 결정은 북한에 물어보고 결정할 이유도, 필요도 없는 일이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에 기권하기로 결정한 것은 지난 2007년 11월16일 대통령 주재회의에서다. 그러나 주무부처인 외교부에서 찬성 주장을 굽히지 않아 송 전 장관을 설득하는 회의가 18일 안보실장 주재로 열렸다. 김 의원은 “안보정책 조정회의는 안보실장이 주재하는 것으로 규정에 나와 있다”며 “비서실장(문재인)은 참석하는 회의”라고 확인했다.
이어 ‘북한에 물어봤다’는 점에 대해서 “이 회의에서 결정된 사항, 기권하기로 결정된 사항을 북한에 전달키로 한 것”이라며 “따라서 유엔 인권결의안에 대한 결정을 북에 물어보고 결정할 이유도, 필요도 없는 일”이라고 일축했다.
회고록에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북한에 물어보지 않을 걸 그랬다’고 후회했다는 대목에 대해서는 “대통령의 스타일”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노 전 대통령은 16일 회의에서도 ‘송 장관의 주장이 맞지만 이번에도 기권으로 가자’고 했는데 그 말의 연장선상으로 외교부를 배려하고 송 전 장관의 체면을 구기지 않게 하기 위한 취지로 말을 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
김영환 (kyh1030@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평생 6.5회 사랑에 빠지고 5.5회 차인다?'..모태솔로는 어쩌나
- 66kg 다이어트 성공한 美女, 학창시절 놀리던 남성 고백 거절
- 로또 724회 1등 14억 당첨자 12명 중 4명 수동.. 배출점은?
- 北, 美전투기 격추 가상영상 공개.."파리 잡는것보다 더 쉬워"
- 한혜진 "다시 태어나도 기성용과 결혼"..거짓말탐지기 결과?
- 대박난 성심당 ‘딸기시루’, 알고보니 ‘이것’으로 만들었네
- [헌법학자 긴급설문]尹탄핵 선고 결과…'인용' Vs '기각' 엇갈려
- 현직 변호사도 “김수현, 알맹이 없는 기자회견…재기 불가능”
- "트럭커로 月 1000만원" 경단녀의 인생 2막
- [속보]이복현 "尹 있었다면 상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하지 않았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