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종범-이승철, 7월에 미르의혹 말맞추려 만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의원은 12일 국정감사에서 전경련 현직 실무자의 제보 내용을 공개했다.
송 의원은 이날 이승철 전경련 부회장을 향해 "TV조선에서 (미르재단 관련 의혹이 최초로 보도됐을 때) 안종범 청와대 수석을 만나지 않았느냐"고 추궁했다.
이 부회장은 "행사 때 몇 번 봤다"면서도 "(보도 이후에) 만난 기억이 없다"고 답변을 회피했다.
그러자 송 의원은 "증언이 있다. 일시 장소까지 해서 (국감 증인 위증죄로) 고발하면 어쩔려고 그러느냐"며 "(안종범 수석이) 송희영 조선일보 주필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잘 마무리 할 수 있다고 얘기했느냐"고 재차 추궁했다.
송 의원실은 최근 전경련 실무자로부터 미르재단 설립 및 후속 상황과 관련한 중요한 증언을 들었다.
미르재단과 관련해 최초의 언론 보도가 나오자, 안 수석과 이 부회장이 만나서 사전 입맞추기를 시도했었다는 것이다.
이 자리에서 안 수석은 이 부회장에게 "괜찮을 것이다"고 얘기했고, 이후에 송희영 주필 문제가 터지고 TV조선이 연속 보도를 멈추면서 사태가 정리되는 듯 했다.
이 실무자는 "(송희영 주필 사건이 터진 이후) 이렇게 정리되는가 했다가 한겨레에서 다시 나오고 나서 국회에서 여러 문제가 나와서 사실상 대응하지 못하고 손을 놓은 상황이다"고 털어놨다.
이같은 전경련 실무자의 증언은 청와대와의 연관성이 드러난 결정적인 진술이다.
안종범 수석이 언론 보도 이후 이승철 전경련 부회장과 미리 말맞추기를 위해 만났다는 것은 청와대가 재단 설립을 주도했다는 것을 역으로 증명하는 것이다.
미르재단 설립 당시 "회의록을 만드느라 난리가 났었다"는 증언도 나왔다.
지난해 여름 전후부터 미르재단 설립을 위한 모금이 추진됐다는 이승철 부회장의 증언과는 반대로 이 실무자는 단 며칠만에 급박하게 추진됐다고 주장했다.
전경련 실무자는 "(미르재단에) 하루만에 허가가 나온 것은 이미 날짜를 이 날로 맞추라는 지시가 떨어졌었기 때문"이라며 "이 때 너무 무리한 것 아니냐는 내부 분위기가 있었지만 소용없었다"고 말했다. 전경련 내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일었지만 묵살된 채 재단 모금과 설립이 강행됐다는 설명이다.
특히 이 실무자는 "전경련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이후에 대통령의 멘트에 따라 움직이는 내부 분위기가 있었다"며 "미르재단 때도 마찬가지였다"고 증언했다.
[CBS노컷뉴스 조은정 기자] aori@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모님이나 잡수세요" 경비원에 유통기한 지난 음식 주다니
- 中매체, 중국어선 강경책에 "韓 정부 미쳤나?"
- 바이올리니스트 권혁주, 택시에서 갑자기 사망(종합)
- 檢, 추미애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기소
- [영상] "국민 약올리려 나왔나" 전경련 이승철 혼쭐
- [뒤끝작렬] 朴정부 경찰수장 수난시대…자업자득인가
- [뒤끝작렬] 스러진 DJ의 장남과 공허한 '좌파 독재'
- 문 대통령 "김정은 위원장에게 핵포기하고 경제 택해야 얘기했다"
- 가까스로 살아난 '패스트트랙'…향후 정국과 변수는?
- 폼페이오, “이란 밖 나가는 원유 없을 것"...한국 등 수입금지 예외 종료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