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심판론 38.8% 야당 심판론 32.4%

2016. 3. 14. 09: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총선 D-30, 수도권 5곳 여론조사

대통령 임기 중반기에 치르는 국회의원 선거나 지방선거에서는 대개 야당이 제기하는 ‘정권심판론’ ‘경제위기론’과 여당이 맞세우는 ‘정권안정론’ ‘경제회생론’이 충돌한다. 야당은 공격적이고 여당은 방어적이다. 선거의 성격을 규정하는 프레임 전쟁이다.

그런데 4·13총선을 앞두고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은 특이하게도 ‘야당심판론’으로 맞불을 놓았다. 국회선진화법 때문에 정부와 여당 마음대로 법안을 통과시킬 수 없게 된 정치적 환경을 역이용해 경제난의 책임을 야당에 뒤집어 씌운 것이다. 친여 성향 언론과 종편도 거들었다.

응답자 2500명에게 물어본 결과 실제로 ‘야당심판론’이 만만치 않게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제를 위기에 빠트린 여당을 심판해야 한다’는 응답이 38.8%, ‘경제의 발목을 잡은 야당을 심판해야 한다’는 응답이 32.4%였다. 오차범위(±4.4%)를 고려하면 여당심판론과 야당심판론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지지하는 정당에 따라 답변이 크게 엇갈렸다. 새누리당 지지자들은 63.8%가 야당심판론에 찬성했고 12.3%만 여당심판론에 찬성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77.0%가 여당심판론을, 8.3%가 야당심판론에 찬성했다. 국민의당 지지자들은 48.4%가 여당심판론, 21.9%가 야당심판론에 찬성했다. 정의당 지지자들은 83.2%가 여당심판론, 5.1%가 야당심판론을 찬성해 가장 강력한 ‘야당 성향’을 드러냈다.

지지정당이 없는 사람들은 이 항목에서도 ‘모름/무응답’이 65.2%로 많았다. 여당심판론 21.9%, 야당심판론 12.9%였다.

여론조사 대상 선거구별로는 영등포구을만 야당심판론이 앞섰고, 나머지는 여당심판론이 많았다. 영등포구을은 여당심판론 31.3%, 야당심판론 35.5%, 성북구을은 여당심판론 37.7%, 야당심판론 34.4%였다.

수원시무는 여당심판론 42.7%, 야당심판론 28.6%로 격차가 가장 컸다. 용인시정은 여당심판론 40.9%, 야당심판론 32.9%, 성남시중원구는 여당심판론 39.0%, 야당심판론 30.5%였다.

이번 조사는 <한겨레>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수도권 5곳의 유권자 각 500명씩을 대상으로 유선전화 임의걸기(RDD)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다. 서울의 영등포을·성북을, 경기의 수원무·용인정·성남중원의 응답률은 각각 8.5%, 5.7%, 5.4%, 6.1%, 7.5%에 이르렀으며 성·연령·지역에 따라 가중치를 뒀다.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관련기사
▶‘1여다야’ 수도권 새누리 강세…야권연대가 변수 될 듯
▶[성북을] ‘야권 강세’ 지역에서도 새누리 후보들 선두로
▶[영등포을] 권영세-신경민 ‘리턴매치’…10%p차 권후보 우세
▶[성남중원] 은수미·안성욱 모두 신상진에 10%p차 밀려
▶[용인정] 표창원, 새누리 후보와 오차범위내 혼전
▶[수원무] 김진표 후보 이름값…정미경 후보와 접전
▶[비례대표 지지정당] 새누리 정당 지지율 5곳 중 4곳 앞서

<한겨레 인기기사>
“경로당에서 고스톱 칠 때 짝 안맞으면 전화하세요”...목사 사용설명서 화제
[복기] 문자 중계로 보는 ‘이세돌 vs 알파고 5국’
이세돌 일문일답, “알파고 집중력, 사람이 이기긴 어렵다”
김무성계 대부분 생존…뒷거래 있었나?
[화보] 100년 전 양반가 여인들…조선시대엔 무슨 일이?

공식 SNS [페이스북][트위터] | [인기화보][인기만화][핫이슈]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