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총리직 사퇴해야" 이완구 "온당치 않다"
[머니투데이 배소진 기자] [[the300][대정부질문]이완구 "검찰 수사하면 드러날 것"]
이완구 국무총리가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와 관련 검찰의 소환요청이 있을 경우 이에 응할 것이라고 13일 밝혔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과의 친분이 없을 뿐더러 돈을 받은 일도 결코 없다고 극구 부인했다.
이 총리는 이날 오전 국회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에서 "검찰의 소환요청이 있으면 응할 것이냐"는 정청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의 질문에 "당연하다"며 "총리를 비롯해 어느 누구에도 성역은 있을 수 없다"고 답했다.
정 의원은 이 총리를 항해 "총리와 청와대 비서실장은 법무부장관이나 민정수석 등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수사를 조율하고 지휘할 위치에 있다"며 "직에서 사퇴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성 전 회장이 숨지기 직전 만났던 태안군의회 의원들에게 전화를 한 것에 대해 "외압이 아니냐"고 따져물었다.
이에 이 총리는 "총리가 그렇게 할 수 있는 위치가 아니다"며 "총리가 메모에 연유도 모르게 이름이 있었다 해서 국정운영에 (손을) 놓는 것은 온당치 않다"고 반박했다. 또 "고인이 메모에 (제) 이름을 남겼다고 하고 그 분이 제 얘기를 언급했다고 들었다. 태안군 부의장과 저는 친분이 있었으니 전화를 해서 알아보는 게 자연스러운 현상 아니냐"고 정 의원의 주장에 반박했다.
이 총리는 "정황상 성 전 회장이 제가 동향으로서 도와주지 않았다는 데 대한 섭섭함이 있었던 것으로 유추된다"며 "3월 22일 (성 전 회장과) 통화할 때 '억울하다'고 하는 말에 '법과 원칙에 의해 국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억울하거나 답답한 것이 있으면 검찰에 가서 상세히 밝히라'고 답한 것이 서운했을 것"이라고 거듭 설명했다.
정 의원은 1997년 당시 성 전 회장과 이 총리가 신한국당 소속으로 함께 활동했다는 점을 들어 친분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2013년 선진통일당과 한나라당 합당시 이 총리가 성 전 회장을 충청도당위원장에 추천했다는 사실도 예로 들었다.
이 총리는 "직접 만난 것은 16대 국회 말인 2003년~2004년이다"며 "선진당과 한나라당 합당했을 때는 동료의원으로서 당연히 모셔서 양당 합당효과를 극대하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던 것 뿐"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정치인으로서 후원금 한 푼 받은 적 없고 성 전 회장이 주도한 충청포럼에도 가입하지 않았고 대선 관여를 한 바도 없다. 밀접한 인연이 없으니 돈을 받을 일도 없다"며 "검찰이 철저하게 수사하면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답변과정에서 정 의원이 이 총리의 대답할 기회를 충분히 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두 사람이 대립하며 잠시 험악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의석에서는 "예의를 갖춰 질문해라", "대정부질문을 이따위로 하는 게 어딨냐", "답변시간을 주세요" 등의 고함도 터져나왔다.
정 의원은 "과거 노무현 대통령은 여당이 총선에서 잘 되면 좋겠다 말 한마디로 탄핵을 당했다"며 "그 기준이라면 지금 벌어지는 부패스캔들은 박근혜정권을 열 번도 더 탄핵가능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대선자금 의혹은 박 대통령을 지구 끝까지 따라갈 것"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의 책임있는 결단을 촉구한다"고 발언을 마무리했다.
배소진 기자 sojinb@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