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 "집필진, 검정 때보다 2배 늘리고 독립성 보장"
황우여 부총리는 “(국정) 역사 교과서는 역사학자 중심으로 집필하고 검토하되 근현대사에서는 정치·경제·문화 등 다른 분야 학자들도 일정 부분 보완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기존 검정 교과서 때보다 배 이상 되는 집필진이 투입되며, 해당 집필진이 충분히 독자성을 갖고 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올바른 역사는 무엇이며 누가 판단하나.
“현재의 (검정) 교과서는 헌법 가치에 부합하는 국가 정체성과 자긍심을 부여하는 데 미흡하다고 본다. 이제 현안은 ‘정말 좋은 교과서를 만들 수 있느냐’ ‘어떤 교과서가 좋은 교과서냐’ 이다. 검증은 교육부가 주관하되 국사편찬위원회 심의위원회가 맡아서 하고, 교과서 내용은 사전에 웹을 통해 전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민과 함께 검증해 대다수 국민의 의사가 잘 반영되도록 하겠다.”
- 검정 교과서도 교육부가 승인한 것 아닌가.
“(이영 차관 답변) 검정발행 제도 자체가 실패했다고 판단한다. 검정발행 제도하에서 여러 가지 다양성이 존중되고 그 안에서 자정 기능이 발휘되길 기대했다. 하지만 여전히 고쳐지지 않고 있다.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교육부도 일정 정도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 역사학자들의 집필 거부가 상당한데.
“ 집필자 선정은 국편이 할 일이다. 당연히 집필과 검토는 역사학자가 주가 될 것이다. 그런데 근현대사에 있어서는 정치·경제·문화와 같은 사회 부분이 전체적으로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일정 정도 다른 학문 분야 사람들이 보완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 5일 하겠다던 확정고시를 앞당긴 이유는.
“교육부 실무선에서 관보 게재 문제를 이유로 5일 정도로 예정하는 게 좋다고 한 건 사실이다. 하지만 전자관보로 확정고시를 대신하기로 하면서 문제가 해결됐고, 행정예고 기간에 충분한 의견 검토를 했다. 행정절차적인 문제만 해소된다면 행정예고 등의 취지에 비춰 (확정고시를) 지체 없이 하는 것이 옳다고 봤다.”
글=노진호 기자 yesno@joongang.co.kr
사진=김상선 기자
▶ "연락 안되면 신고" 모텔 알바생…이제 '모텔 권하는 남자'
▶ JP “북한 정권 체제관리 능력은 상상 이상”
▶ 건강에 가장 나쁜 직업 2위 스튜어디스, 1위는?
▶ 김진태 "지구상에 범죄를 만드는 나라가 어디…"
▶ [단독] 시진핑 "중국이 만리장성 왜 쌓았겠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