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신의주-中 단둥 연결 신압록강대교 내년 개통"

2015. 9. 11. 11:2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관측통 이창주 박사 "단둥시 간부 언급, 북측 연결도로 중국이 투자"
(선양=연합뉴스) 홍창진 특파원 = 북중경협의 상징으로 인식됐으나 작년 10월 이후 개통이 미뤄지는 신압록강대교의 내년 개통 가능성이 제기됐다. 2015.9.11 realism@yna.co.kr

관측통 이창주 박사 "단둥시 간부 언급, 북측 연결도로 중국이 투자"

(선양=연합뉴스) 홍창진 특파원 = 북·중 경제협력의 상징으로 꼽혀온 신압록강대교가 내년 중에 개통될 것으로 알려졌다.

동아시아 외교 전문가인 이창주 중국 푸단(復旦)대 박사는 11일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최근 접촉한 단둥시정부 간부로부터 '신압록강대교가 내년에 개통될 것이라는 소식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 박사는 특히 중국이 이미 북측 도로 건설에 투자키로 했다는 단둥시 간부의 말도 들었다며 중톄주쥐(中鐵九局) 직원들이 토지측량을 위해 북한에 들어갔다는 소식을 전했다.

중국 랴오닝(遼寧)성 선양에 위치한 중톄주쥐 집단유한회사는 중국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 산하 국유기업으로 도로, 철로 등 인프라 건설사업을 주로 담당한다.

랴오닝성 단둥(丹東)과 북한 평안북도 신의주를 연결하는 신압록강대교는 2010년 말 착공, 작년 10월 교량 건설이 마무리돼 개통을 앞두고 있었으나 북한 쪽 접속교량이 건설되지 않아 개통이 11개월째 미뤄졌다.

전문가들은 신압록강 대교 개통 차질과 관련해 북한측이 표면적으로 도로 공사비 부담을 들고 있으나 공사를 중단한 실제 이유는 지난 2013년 3차 핵실험 강행 이후 북중 관계가 악화된 결과라며 정치적 상황에 따라 공사 재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은 신압록강대교를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전략과 연계한 '유라시아 육로 통로 및 랴오닝 연해경제벨트'의 인프라로 보고 건설비 22억2천만 위안(약 4천115억 원)을 전액 부담했다.

그러나 북한은 대교와 북측 도시의 연결도로에 대해 중국 측 투자를 요구하며 공사를 중단했다.

뤠차오(呂超) 랴오닝사회과학원 교수는 "신압록강대교와 달리 지린성과 북한 함경북도의 나선시 특별경제구역 기초건설사업은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며 "북중경협이 상호보완성을 지녔고 대부분 중국과의 무역에 의존하는 만큼 무역의 냉탕온탕은 언제든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realism@yna.co.kr

☞ '장롱 속 시신'…의처증 남친의 '데이트폭력'에 희생
☞ 中 여대생, 쓰러진 할머니 도우려다 '덤터기' 쓸 뻔
☞ '중국판 된장녀' 궈메이메이, 도박장개설죄로 징역5년형
☞ 미국서 '예수를 위한 팁' 또 화제…유타주서 3천달러 팁
☞ 롯데 "신동빈 회장, 한국 국적 포기한 적 없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