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한, 가뭄으로 올해 쌀 수확량 12% 감소"

2015. 6. 20. 09:2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이상현 기자 = 최근 북한이 극심한 가뭄 피해를 보는 가운데 유엔이 식량 사정 악화를 우려하는 보고서를 내놨다.

20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최근 발표한 '세계정보·조기경보 국가보고서'는 북한의 올해 쌀 수확 추정치를 지난해(260만t)보다 12% 감소한 230만t으로 추정했다.

보고서는 "북한의 전체 논 면적 54만 4천 헥타르(ha)의 4분의 1 수준인 13만 6천 헥타르가 가뭄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다"며 "올해 생산량이 최근 5년간 평균치보다 낮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또 북한의 감자, 밀, 보리 등 이모작 작물의 수확량도 애초 예상보다 2만 4천t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예상 수확량은 작년보다 18% 감소한 30만 1천t이었다.

하지만 가뭄 피해로 수확량은 이보다 더 줄어 27만7천t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종류별로는 감자가 24% 감소한 22만t, 밀과 보리가 26% 감소한 5만 7천t으로 각각 추산됐다.

보고서는 "북한 식량 생산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황해도 지역이 극심한 피해를 보고 있다"면서 "올해 식량 생산의 현저한 감소를 피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수주일 내로 더 많은 비가 내려야 하다"고 지적했다.

반면 이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 북부 고산지대에 폭우가 쏟아져 일부 협동농장 농경지가 물에 잠기는 등 일부 지역에서는 침수 피해를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제임스 밀러 전 미국 국방부 정책담당차관은 18일 미국 의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북한이 가뭄에 따른 수확량 감소로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할 경우 미사일 발사 등 추가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고 RFA가 보도했다.

밀러 전 차관은 그러면서도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식량지원 중단 주장에는 반대한다"며 "식량지원 중단은 북한 정권의 '적대적 외부 세력 탓' 주장을 뒷받침하게 되며 윤리적이지도 않다"고 덧붙였다.

hapyry@yna.co.kr

이응준 "신경숙 표절은 문학의 일…고발 철회하라"
'옛 애인 몰카' 구글 검색결과서 사라진다
"일본, 2002월드컵 유치 후 남미에 150만불 전달"
여친 집서 속옷 차림 남자에 격분 주먹질…법원은 '선처'
'전선 도둑' 누명 구속 30대 국민참여재판서 무죄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