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권 이후 자원개발에 30조 투입해 16% 건져
[경향신문] 2008년 이후 해외자원개발사업에 30조원 이상의 돈이 투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30조원의 90% 이상은 빚을 낸 투자였고, 회수에 성공한 자금은 16%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조배숙 의원(국민의당)은 4일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인 2008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한국석유공사·가스공사·광물자원공사 등 자원 3사가 70개 해외자원개발사업에 총 30조 3560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중 회수된 자금은 전체의 15.8%인 4조 8000억원에 불과하다. 반면 현재까지의 자산가치 하락과 손실은 6조 2616억원으로 회수액보다 많다. 확정된 손실이 6365억원, 자산가치 하락 등으로 인한 누적 손상액이 5조 6251억원으로 집계됐다.
자원 3사는 투자금의 대부분을 빚을 내 조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빚을 내 조달한 투자금은 석유공사가 14조 2026억원, 가스공사가 8조 7525억원, 광물자원공사가 4조 6890억원에 달했다. 모두 합하면 27조 6441억원으로 전체 투자금의 91%가 빚인 셈이다.
빚을 내 투자했지만 이익은 거의 보지 못하면서 만기까지 지불해야할 이자도 눈덩이처럼 커졌다. 가스공사는 추정이 어려운 탐사사업을 제외하고도 이자비용이 1조 8993억원에 달한다. 석유공사의 이자비용은 1조 4303억원, 광물자원공사는 4698억원으로 추정됐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자원 3사의 부채비율 역시 폭등했다. 석유공사의 부채비율은 2008년 73%에서 지난 6월말 기준 516%까지 증가했다. 광물자원공사 역시 2008년 85.4%에서 지난 6월말 1만 454%까지 급속히 증가했다.
조배숙 의원은 “MB정부 출범 이후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강요하다시피 하면서 각 공사가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보다는 해외 광구 지분 인수를 통한 외형 확대에 치중했다”며 “자산평가를 시행해 더 악화될 우려가 있는 부실 자산을 매각하는 등 자산을 합리화해야한다”고 말했다.
<이효상 기자 hsl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지호 경찰청장, 국회 계엄군 보고 ‘이제 왔네’ 했다” 경비국장 증언
- 검찰, ‘공천개입 의혹’ 김건희 소환 방침···윤 파면 이전 일정 조율 시작
- 국힘 김재섭, 당내 친윤 중진에 “징계 대상이자 제거해야 할 고름”
- 현직 경찰관이…술 취해 소란피우다 출동한 경찰관에 주먹질
- 3년새 109개…‘지뢰 찾기 영웅’ 주머니쥐 로닌, 기네스북 세계 신기록
- 법원, ‘신동호 EBS 사장 임명’ 효력 정지···‘2인 방통위’ 또 제동
- 국힘 김상욱 “윤 전 대통령 출당 당연…내가 왜 징계 대상인가”
- 헌재, 10일 오후 2시 박성재 장관 탄핵심판 선고
- 전광훈 집회서 “손현보 때려잡자”“전한길 날강도”···윤 파면 이후 분열하는 극우
- “사퇴냐 휴직이냐, 6층만 알 뿐” 오세훈 침묵에 안팎서도 설왕설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