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타결' 후폭풍>"역사적 획기적 성과".. 日, 또 언론플레이하며 '승리' 자축
- 일본 분위기
‘최종적·불가역적’ 포함… “아베 의지 관철” 자평
유네스코 등재보류 합의… ‘이면 성과’ 언론보도도
우익은 ‘책임인정’ 반발… 아키에 ‘참배’로 달래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한 한·일 양국 간 합의에 관해 일본 언론들은 자축하면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결단을 강조하는 분위기다. 아베 총리는 합의 발표 후 도쿄(東京) 총리 관저에서 “양국이 힘을 합쳐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자축했으며, 직접 협상에 임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은 “역사적이고 획기적인 성과”라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극우파 달래기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아베 총리의 부인 아키에(昭惠) 여사가 한·일 위안부 합의 직후 야스쿠니(靖國) 신사를 참배한 것은 극우파를 달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29일 일본 언론들은 한·일 양국의 위안부 문제 최종 합의의 이면에 대해 속속 보도하고 있다. 한국 측이 이번 합의와 함께 위안부 관련 자료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신청하지 않기로 합의했다는 점과 양국 간의 합의 내용을 공동문서로 남기지 않도록 요청했다는 것 등이다.
또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주한 일본대사관 앞의 위안부 소녀상 이전 문제에 대해 ‘적절히 대응해 가겠다’는 입장을 밝힌 점도 국내에서는 큰 파장을 일으킬 전망이다. 위안부 할머니들뿐만 아니라 시민모금 등을 통해 소녀상 설치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등 위안부 피해자 관련 시민단체들은 여전히 ‘이전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 정부와의 합의를 바탕으로 한국 정부가 나서 이를 이전하도록 요청한다면 정부 대 민간단체 간의 갈등 점화는 명약관화한 상황이다.
특히 일본 언론은 이 같은 한·일 정부 간의 협상 과정에서 아베 총리의 역할이 주요했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아베 총리가 기시다 외무상에게 “(협상을)일임하겠다. 타협할 필요는 없다. 결말이 나면 역사적인 의의가 있는 회담이 된다”고 말하고서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이라는 문구를 절대적 조건으로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언론은 이를 배경으로 일본 정부가 교섭에서 위안부 문제의 완전한 해결이라는 조건을 양보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한편 한·일 양국이 위안부 문제 합의를 공동 발표한 28일 오후 아키에 여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전후 70년을 맞이한 올해가 얼마 남지 않았다. 올해의 마지막 참배”라며 야스쿠니 신사 참배 소식과 사진을 게재했다. 이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인정한 아베 정권에 반발하는 일본 극우세력을 달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되고 있다.
박준희 기자 vinkey@munhwa.com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