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정책블로그 개설 한달] '정책 공감' '정책 반감'?

입력 2008. 9. 24. 04:07 수정 2008. 9. 24. 04:0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촛불에 덴 정부의 국민과의 소통 노력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정부대표 블로그 신설과 각 중앙부처 블로그 운영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뉴미디어를 이용한 국민과의 소통 시도는 아직은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네티즌들을 유인할 만한 소식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올라온 네티즌의 댓글에 대해서도 답을 하지 않는 등 일방적 정책 홍보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뉴미디어를 통한 정부의 네티즌 소통 실상과 문제점 및 대안을 모색해 본다.

'웹 2.0(개방·참여·공유)'시대에 맞춰 정부가 네티즌과의 소통을 위해 정부 대표 블로그인 '정책공감'을 개설하고 각 부처에서도 독자적인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지만 여전히 네티즌들의 눈높이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정책공감의 경우, 개설 한달 동안 방문자 수에 있어서는 무난한 출발을 보였다. 하지만 블로그에 올린 글 가운데 절반 이상에 댓글이 하나도 달리지 않는 등 네티즌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다른 부처에서 운영 중인 블로그도 개점 휴업 상태인 게 적지 않다.

댓글 없는 일방적 정책홍보

지난달 28일 다음의 정책공감에 올린 '인천공항 선진화에 대한 시시비비'라는 글에는 댓글이 276개가 달리는 등 네티즌들이 폭발적인 관심을 보였다. 당시 하루 방문자도 1만명을 넘었고, 이후 올라온 2건의 관련 글에도 각각 댓글이 25개와 88개가 달렸다.

그러나 이후 올라온 글에는 댓글이 1∼2개 달리는 것에 그쳤다.23일 현재 다음 블로그에 올라온 56개 글 가운데 53.6%인 30개에는 댓글이 하나도 달리지 않았다. 경인운하 등 논쟁이 될 만한 현안에 대해서는 글을 올리지 않아 네티즌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키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네이버 블로그도 마찬가지다. 전체 글 54개 중 57.4%인 31개 글에 댓글이 하나도 달리지 않았다. 네이버 글에서 가장 많은 댓글이 달린 글은 인천공항 선진화 관련 글로 10개의 댓글이 달렸다.

개점 휴업 블로그도 있어

각 부처에서 다음이나 네이버에 만든 일부 블로그들의 경우, 아예 개점 휴업 상태로 부실 운영되고 있다.

노동부가 지난해 9월 다음에 개설한 블로그 '손에 잡히는 혁신'은 가장 최근에 올린 글이 지난해 11월13일 올린 것이다. 블로그를 만든 지 3개월도 안돼 손을 놓은 셈이다. 전체글도 30개, 전체 방문자 수도 7115명에 불과하다. 지난 8월25일 다음에 개설된 국토해양부 블로그에는 전체글이 3개에 불과하다.

지난 4월 다음에 개설된 청와대 블로그 '푸른 팔작지붕아래'는 전체 글이 24개에 불과하다.'대통령과 함께 쓰는 청와대이야기'라는 타이틀과는 달리 대통령이 쓴 글은 담화문 몇건이 전부다.

다음·네이버 등 유명 포털에 운영 중인 블로그와 별개로 정부정책포털 블로그(blog.korea.kr)에도 각 부처별 블로그가 있으나 방문자는 거의 없다. 이곳에 개설된 '정책공감' 블로그의 경우 23일 현재 총 방문자가 2600여명에 그쳤다. 지난 4월 개설된 기상청의 '땅속을 파헤치자'가 글이 하나도 없는 등 휴면 처리돼야 할 블로그도 적지 않다.

파워 블로그는?

정부 블로그의 현주소는 정치·사회 분야 '파워 블로그'와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다. 방문자와 댓글 등 전체적인 부분에서 크게 뒤져 있다.

2004년 3월 네이버에 개설된 정치·사회 분야 파워블로그인 '준영사랑'의 총 방문자수는 23일 현재 2351만여명에 달한다. 전체 글도 2만 1000여개에 이른다. 이웃이 1100명, 스크랩 수만도 6만 9000여건에 이른다. 댓글을 쓰는 코너를 따로 두고 있으며 답글도 올리고 있다. 운영자가 이벤트로 2100만명째 방문자에게는 선물을 주기도했다.

412만 3000여개에 달하는 블로그를 대상으로 한 야후 블로그 순위에서도 준영사랑 블로그는 156위로 상위에 올랐다. 반면 청와대 블로그는 네이버 블로그의 경우 11만 9311위, 다음 블로그의 경우 16만 3816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정책공감에 글을 쓴 한 네티즌은 "소통을 원한다면 일방적인 강요나 여론 조작 말고 진심을 담아 이야기 해야 한다."면서 "국민에게 신뢰를 받는 정보가 되도록 노력해 달라."고 주문했다.

■전문가들의 평가

"수직적 소통은 웹2.0 이해부족 탓"

전문가들은 '정책공감'을 비롯한 정부 부처 블로그에 대해 "일단 시도는 좋다."고 평가했다. 국민들과의 접점을 넓히려는 노력이 엿보인다는 점에서다. 그러나 기존의 '정책 홍보성' 홈페이지를 답습하거나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소통채널을 활용하지 못한다는 점, 나아가 '수평적 개방·참여'라는 웹 2.0 시대정신에 역행하는 정책을 펼치는 것에 대해 쓴소리를 했다.

"옛날부터 정부나 정치인, 공공기관의 사이버 공간은 비슷비슷했다.'정책공감'도 이를 답습하는 성격이 짙다."는 것이 민경배 경희사이버대 NGO학과 교수의 평이다. 정책을 일방적으로 홍보하거나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수직적이고 권위적인 성향을 버리지 못한 탓이다.

황용석 건국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정부의 블로그는 소프트하게 접근한다는 방식만 다를 뿐 기본적으로 정책을 공표(publish)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면서 "권력을 갖고 있는 정부의 특성 때문에 수평적 공간인 온라인에서는 소통수단으로 적합지 않다."고 말했다.

'수평적' 공간에서 '수직적' 소통을 바라는 정부의 태생적 한계와 더불어 지적되는 문제는 웹 2.0에 대한 정부의 이해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유튜브, 페이스북 등 웹 2.0 기반 사이버 커뮤니티뿐 아니라 RSS(콘텐츠를 요약해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든 표준), 팟캐스트(RSS를 이용한 인터넷 라디오 방송), 트랙백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고 있는 다른 블로그와는 달리 정부 블로그들은 '우직하게' 웹 1.0시대의 게시판, 내려받기 등의 기능에 충실하다. 민 교수는 "웹 2.0에 대한 정부의 이해도가 떨어지다 보니 (그런 수단을)활용하지 못하고 홍보성 콘텐츠만 계속 만들어낸다."고 말했다.

근본적으로 인터넷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정부 인식의 변화를 주문하는 전문가도 있다.IT평론가인 김국현씨는 "평등한 소통을 통해 변화를 강조하는 2.0의 현상들은 근본적으로 기득권을 흔들 수밖에 없다."면서 "정부가 그 흔들림에 불안해하고 웅크리면 소통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인터넷의 특성을 먼저 이해하고 소통을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외국의 사례는

백악관 홈피 국민과 실시간 토론도

블로그로 국가와 개인이 직접 소통하는 예는 다른 나라에서는 거의 없다.

임종수 세종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인터넷 게시판 문화가 가장 발달한 곳이 우리나라"라면서 "우리나라보다 앞선 시도를 하는 곳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개방·참여·공유'라는 웹 2.0의 정신을 구현, 다양한 형식으로 참여를 유도해 쌍방향 소통을 가능케 하는 곳은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대표적으로 손꼽히는 곳이 미 백악관 홈페이지(www.whitehouse.gov)다.

온라인 백악관은 조지 부시 대통령의 모든 TV·라디오 연설을 '팟캐스트'로 제공한다. 팟캐스트는 애플사의 mp3플레이어 '아이팟'과 캐스트(방송)가 합쳐진 말로,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들이 새로운 오디오파일을 구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디어를 찾아가지 않아도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뜻한다.'팟캐스트'를 통함으로써 대통령의 연설이 더 많은 사람에게 손쉽게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거기에 국민들이 궁금한 사안이 있을 때 홈페이지에 글을 올리면 백악관 참모들이 곧바로 대답을 올려주거나, 국민과의 실시간 토론을 하는 등 더 많은 누리꾼의 참여를 유도하는 점도 돋보인다.

미 민주당 대선 후보 버락 오바마의 블로그(www.barackobama.com)도 좋은 사례다. 오바마는 자신의 블로그에 지지자들이 각자의 블로그를 만들 수 있도록 했다. 그 블로그는 본인의 출신 지역, 소속된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연동된다.

기획탐사부 조현석 강국진 김민희 기자 tamsa@seoul.co.kr

[ 관련기사 ] ☞ 정부, 네티즌 소통 '여전히 먹통'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서울신문( www.seoul.co.kr)

[ ☞ 서울신문 구독신청] [ 안젤이 걷기대회 10월 18일 ]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