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16%는 '이직 의향'..대부분 돈 때문
이직시 기대보수 현재의 143%…공무원 46% "직업에 대해 만족"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공무원의 16.3%는 이직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89.4%는 이직을 희망하는 이유로 보수를 꼽았으며, 이직시 기대보수는 현재의 142.7%라고 답했다.
안전행정부는 32개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소속 3∼9급 일반직 공무원 1천53명을 상대로 작년 10월 14∼31일 공무원 보수격차에 대한 인식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안행부 관계자는 "민간과 공무원간 보수격차가 좁혀지고 있지 않은 가운데, 이에 대한 인식조사를 벌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직 시 기대보수 수준을 통해 공무원 보수의 하한선을 간접적으로 구해본 게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조사결과, 공무원들은 학력과 연령, 경력이 비슷한 민간기업 사무직 종사자와 비교했을 때 자신의 보수를 72.1% 정도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민관보수수준 분석결과, 일반직 공무원의 보수가 100인 이상 사업체 평균임금의 77.6%로 조사된 데 비하면, 실제 임금수준보다 보수가 더 낮다는 생각이 강했다.
공무원들은 직업 지속성과 사회적 기여도, 시간적 여유 등의 경우 민간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낫지만, 보수나 발전가능성, 업무환경은 민간기업보다 열악하다고 인식했다.
민간기업으로 이직할 의향이 있는 공무원은 전체의 16.3%로 집계됐다. 이직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60.3%로 훨씬 많았다. 나머지 23.4%는 '반반'이라고 답했다.
이직 의향이 있는 172명에게 그 이유를 2가지씩 꼽으라고 한 결과 89.4%는 보수라고 답했고, 40.9%는 발전가능성, 34.1%는 업무환경과 시간적 여유, 21.3%는 조직문화를 선택했다.
남성이면서 월평균 가구소득이 200만∼300만원 미만의 계층은 이직 의향이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50대 이상·고졸 이하·읍면동 소속·근무경력 30년 이상·기능직·소득 100만∼200만원 미만 계층은 이직 의향이 없었다.
이직 의향이 있는 공무원들은 이직시 1∼100순위 기업으로 옮기고 싶어했으며, 21.5%는 부장 이상 직급을 원했다.
이직 의향이 있는 공무원들의 민간기업 이직시 희망 보수수준은 현 보수대비 평균 142.7%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평균은 135.3%였다.
공무원들의 직업만족도를 보면 보수에 대해 77.4%가 '적다'고 응답했고, 51.9%는 업무수행에 대한 평가가 성과에 비해 낮다고 여겼으며, 54.9%는 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해 자부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한 사회적 평가에 대해서는 '좋다'가 34.8%, '좋지않다'가 31.8%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비율은 45.9%로 불만족 11.8%에 비해 높았다.
주상영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공무원들은 보수나 성과평가에 대해서는 불만이 크지만, 자부심과 사회적 평가 때문에 공무원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면서 "다만, 20대 여성 공무원은 직업가치나 만족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yulsid@yna.co.kr
- ☞ 현오석 "3개년 계획은 경제 체질 강화 실천 계획"
- ☞ 제64회 베를린영화제 심사위원장에 샤머스
- ☞ <"盧 前대통령 정신나간 인물" 게이츠 회고록 논란>
- ☞ <월드컵 빛낼 스타> ⑮ 코트디부아르 야야 투레
- ☞ 금융사, 개인정보 유출된 고객 명단조차 파악 못해
▶연합뉴스앱
▶궁금한배틀Y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사랑해요" 사고 전날이 마지막…헬기 순직 조종사 아내 오열 | 연합뉴스
- [샷!] "불 번지는데 '17년지기' 혼자 둬 너무 불안" | 연합뉴스
- "내 딸 때렸어?" 아동 세워놓고 추궁한 30대…학대죄 될까 | 연합뉴스
- '종교 전도 받아 집 드나든 건데…' 스토커 몰린 60대 무죄 | 연합뉴스
- 아시아나 필리핀발 인천행, 기장이 여권 잃어버려 15시간 지연 | 연합뉴스
- 김동연, 文소환 통보에 "기가 찰 노릇…검찰, 누구에 충성하나" | 연합뉴스
- "산불감시원 퇴근 시간 다 알아"…대형산불에도 불법 소각 여전 | 연합뉴스
- 건물잔해서 "살려줘요"·임산부 길거리 출산…미얀마 아비규환 | 연합뉴스
- "기부 안하나요"·DM 발송도…유명인에 산불 피해지원 강요 논란 | 연합뉴스
- 도로 중앙 걷던 30대 여성, 트럭에 치여 숨져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