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년전 원형 그대로.. 신라 모자 출토
[동아일보]
|
안테나 모양의 꼭대기 장식과 얇고 편평한 뒷면 장식이 달린 5세기 후반∼6세기 초 무렵의 신라시대 모자가 처음 출토됐다. 이는 지금까지 나온 신라시대 모자 중 가장 완전한 형태로서 원형대로 복원이 가능할 정도로 모든 구성 부분이 일괄 출토됐다. 지금까지 신라시대 모자는 새 날개 모양의 조익형(鳥翼形) 장식이 주로 알려져 왔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류춘규)는 자작나무 껍질로 만들어진 모자(白樺樹皮製冠帽·백화수피제관모)에 금동과 은으로 장식한 신라시대 귀족층의 모자를 경북 경주시 황오동 삼국시대 고분 발굴 현장인 쪽샘지구 E-41호 고분에서 발굴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모자는 나무껍질로 된 본체에 각종 장식품을 끼워서 쓰는 형태다. 이번에 처음 나온 꼭대기 장식(頂部立飾·정부입식)과 뒷면 장식(後立飾·후입식)은 은으로 만들어졌고, 새 날개 장식은 금동제와 은제 2종류가 출토됐다.
모자가 나온 고분은 삼국시대 신라의 지배 계층이 사용한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분·나무곽 외부에 돌을 쌓아올린 후 흙으로 덮어 만든 무덤)으로 봉분 지름이 23m인 중형분이다. 관과 부장품을 담은 궤를 넣어둔 주곽(主槨)과 각종 부장품을 넣어둔 부곽(副槨)이 일렬로 배치돼 있다.
주곽에서는 신라 왕관에서 볼 수 있는 '出(출)'자 모양을 그린 굽다리 긴 목 항아리(臺附長頸壺·대부장경호)도 처음 나왔다. 또 순금제 귀걸이, 유리구슬로 된 가슴장식, 은제 허리띠 장식, 장식대도(裝飾大刀) 등과 함께 100여 점의 토기 및 철제품이 출토됐다.
|
역시 이번에 처음 출토된 신라 금관을 상징하는 '出(출)'자 문양이 새겨진 굽다리 긴목 항아리. |
이주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실장은 "5세기 후반∼6세기 초 신라시대 왕의 무덤인 황남대총과 천마총, 금관총에서 나온 것과 비슷한 유물이 많아 이 무덤의 주인공도 신라시대 상당한 지배층이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허진석 기자 jameshuh@donga.com
▶ [화보] 통일신라 금동불상 7점 출토 |
▶ [화보] 시위도 '자극적'이어야…, 가슴에다 뭘 붙인거야? |
▶ [화보] 걸스데이 숙소공개, 아이돌의 사생활 들여다 보니… |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성동 “민주 초선·이재명·김어준 등 72명 내란죄 고발”…野 “적반하장”
- [김순덕의 도발]이재명의 ‘신뢰 리스크’는 어찌 넘을 건가
- 9일째 접어든 산청 산불…빽빽한 숲·1m 높이 낙엽·강풍에 진화 난항
- “즉각 파면” “탄핵 무효”…꽃샘추위에도 ‘尹 탄핵 찬반 집회’ 총력전
- 정형식·조한창·김복형, 방통위원장·감사원장·총리 탄핵 사건서 같은 입장
- 미얀마 강진, 최소 1002명 사망…전날보다 7배 급증
- 민주당, 검찰 文 전 대통령 소환 통보에 “무도한 정치 탄압 칼춤”
- 尹선고 결국 4월 이후로… 문형배-이미선 퇴임이 ‘마지노선’
- 창원NC파크서 구조물 추락…매점 앞 여성 2명 중경상
- “마라톤, 근육 운동 병행해야 오래 즐겨요” [양종구의 100세 시대 건강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