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제대로 쓰자] 100억 쓴 '저탄소 마을'..애물단지 전락
<앵커 멘트>
오늘은 산림청이 무려 100억 원이나 들여 조성한 이른바 저탄소 마을을 고발합니다.
폐목재 가공품인 펠렛과 우드칩 등을 연료로 사용해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비용도 절감하자는 취지였지만 현실에 맞지 않아 세금만 낭비한 꼴이 됐습니다.
임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2013년, 버려지는 나무를 가공한 펠릿을 연료로 쓰는 보일러를 설치해 중앙 난방을 하는 마을입니다.
산림청이 석유나 석탄 연료보다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이겠다며 53억 원을 투입했습니다.
하지만 106가구 가운데 절반 가까이는 예전에 썼던 경유 보일러를 다시 사용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주민들도 집까지 온수가 제대로 오지 않아 애를 먹고 있습니다.
보일러 고장이 잦기 때문입니다.
한겨울 한창 가동 중이어야 할 보일러가 이렇게 멈춰서 있습니다.
연료인 펠릿 구입비도 버겁습니다.
<녹취> 마을 주민(음성변조) : "따뜻하지도 않은데 자꾸 돌리니까 요금도 너무 부담이 많이 가더라고. 부담이 돼 갖고 못 때겠다고.."
두 번째 저탄소 마을도 어려움을 겪긴 마찬가지입니다.
이곳은 목재를 잘게 부순 우드칩 연료와 펠릿 겸용의 스위스산 중앙 집중 보일러를 설치했습니다.
하지만 우드칩 생산 기계가 애초부터 설치되지 않아 펠릿을 사서 때거나 우드칩 기계를 빌려 써야 하는 형편입니다.
<녹취> 마을 주민(음성변조) : "파쇄를 해서 연료를 땔 수 있는 기계 장비 같은게 지원이 안 되다 보니까 빌려다가도 써보고 그랬는데..."
펠릿 가격도 1년 새 톤당 5만 원 이상 올라 겨울철 펠릿 값만 한 마을에 5천만 원 넘게 듭니다.
이런 난관에 부딪히자 올해까지 이런 마을을 전국 10곳에 조성하겠다는 산림청의 최초 계획은 이제 추진이 불투명합니다.
<녹취> 산림청 담당자(음성변조) : "두 군데 운영하고 지금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늘리려고 했었는데 예산이 반영이 안 됐어요."
면밀한 사전 검토 없는 탁상행정으로 백억 원을 들인 저탄소 마을 두 곳이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임서영기자 (mercy0@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취재파일] 누군가 나 몰래 카드를 발급 받았다
- 모든 정권이 겪은 3년차 증후군, 박근혜 정부는?
- 대형마트 '가격 꼼수' 잡아내는 프로그램 나왔다
- 설탕 자리 꿰찬 '액상과당'이 위험한 진짜 이유
- [취재후] 전쟁을 반성한다고? 아베의 두 얼굴
- “이걸 민주주의라고 할 수 있을까요?”…헌재 주변 학생들의 질문
- “엄마 가게 살리자!” 자녀들이 나섰다…이게 지금, 자영업 현실
- [영상] 경찰청장 직대 “탄핵 선고일 극렬시위 가능성…경찰 총동원”
- 정부, 오늘부터 ‘탑티어 비자’ 도입…고액연봉 외국인 정착 지원
- 챗GPT 가입자 5억 명 돌파…‘지브리 열풍’에 고급 기능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