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티아고에만 있고 유럽엔 없는 것들
[오마이뉴스 글:이홍로, 편집:박혜경]
|
▲ 새벽에 순례길을 나선 순례자들 |
ⓒ 이홍로 |
|
▲ 순례길 옆의 목장 |
ⓒ 이홍로 |
한국과 시차가 있어 아침 이 시간에 카톡을 하거나 보이스톡을 하곤 한다. 딸하고 보이스톡으로 통화를 하는데 가족 모두 건강하게 잘 있다고 한다. 숙소로 돌아오는데 부지런한 순례객들은 벌써 출발한다. 일찍 출발하면 뜨거운 태양을 피할 수 있고 마음에 드는 알베르게에 들어가 일찍 샤워하고 쉴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도 뜨거운 물만 부으면 우거지국이 되는 국에 햇반을 먹고 오전 7시 30분에 출발한다. 이제 햇반이 떨어져 내일 아침부터는 빵으로 아침 식사를 해야 한다. 걷기 3일차가 되니 오른쪽 발목 아래에 통증이 느껴지기 시작한다. 순례길을 시작하기 전부터 등산을 하고 하루에 두 시간 이상 걷기를 할 때 아무 이상이 없었는데 걱정이 된다.
|
▲ 산의 바위에 붙여 지은 건물 짓다가 공사가 중단 되어 있다. |
ⓒ 이홍로 |
|
▲ 다리 위에서 낚시를 하고 있는 할아버지 |
ⓒ 이홍로 |
마을을 벗어나 한참을 걷다 보니 아르가강 다리 위에서 한 할아버지가 낚시를 하고 있다. 낚시를 좋아하는 친구가 "부에노스 디아스" 인사를 하고 어망을 구경해도 되냐고 물으니 몸짓으로 괜찮다고 하신다. 친구가 어망을 보더니 송어라고 한다. 어망에 송어 세 마리가 있었다. 할아버지에게 사진을 찍어도 되냐고 물으니 고개를 끄덕이신다. 물살이 꽤 빠른데 고기가 제법 잡히는가 보다. 친구가 "그 할아버지 참 행복해 보인다"며 "우리도 저렇게 늙어 가자"고 이야기 한다.
우리가 걷는 길 옆에 아르가강이 흐르고 있는데 이 강을 여러번 건너서 순례길을 걸어간다.
아름다운 성문을 통과해 만나는 도시 팜플로나
|
▲ 보행자 전용 다리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순례객 |
ⓒ 이홍로 |
|
▲ 막달레나 다리 |
ⓒ 이홍로 |
팜플로나 시내에 들어가려면 성을 통과해야 한다. 무척 높은 성 옆에 운치있는 길이 있어 마치 내가 잠시 중세 사람으로 돌아간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성 안으로 들어가려면 두 개의 문을 통과해야 된다. 처음 보는 성문이 신기하고 멋져 보인다. 특히 두 번째 성문을 수말라카레이문이라고 하는데 이 문이 더 아름답다. 이 문을 '프랑스의 문'이라고도 하는데 중세 이후 프랑스에서 오는 순례자들을 위해 언제나 문을 열어두었다고 한다.
|
▲ 팜플로나로 들어가는 성 입구 |
ⓒ 이홍로 |
|
▲ 성으로 들어가는 문 |
ⓒ 이홍로 |
|
▲ 팜플로나로 들어가는 수말라 카레이문 |
ⓒ 이홍로 |
팜플로나는 대학 도시라고 한다. 길을 걷다가 대학 정문을 지나는데 잠깐 본 느낌은 우리나라처럼 거대한 건물이라기 보다 조금 큰 고등학교 같다는 것이었다. 보이는 것에 투자를 하지 않는다는 느낌이었다.
|
▲ 팜플로나 시내 모습 |
ⓒ 이홍로 |
|
▲ 팜플로나 시내 모습 |
ⓒ 이홍로 |
|
▲ 팜플로나 시내 모습 - 순례객이 사진을 찍어도 즐겁게 포즈를 취해 준다. |
ⓒ 이홍로 |
시내에 들어와 조금 걸었더니 피곤하다. 우리는 건물 앞 적당한 곳에 앉아 배낭을 내려 놓고 빵과 양파 와인을 먹고 있었는데, 사람들이 우릴 구경하며 사진을 찍기도 한다. 사진을 찍기만 하다가 찍혀 보기는 처음이다.
우리는 카톡 등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영국 통신회사의 Three 유심을 사서 사용하였는데 대도시에서는 잘 되지만 시골로 들어가면 인터넷이 거의 되지 않았다. 인터넷이 잘되는 도심에서 서울에 있는 아내와 보이스톡으로 통화를 하였다. 같이 있을 때는 몰랐는데 이렇게 떨어져 있으니 아내가 그립다.
|
▲ 팜플로나 성당 |
ⓒ 이홍로 |
|
▲ 팜플로나 시청 |
ⓒ 이홍로 |
|
▲ 시수르 메노르의 파미리아 론칼 알베르게 |
ⓒ 이홍로 |
우리는 팜플로나에서 숙소를 잡는 게 아니어서 가게에서 빵을 사가지고 도시를 벗어났다. 시수르 메노르까지 걷는데 이 길은 자동차 도로다. 태양은 뜨겁고 배낭은 어깨를 눌러 조금 가는데도 힘들다. 밀밭 옆에서 잠시 쉬면서 도시를 바라본다. 양파 와인 한 잔씩 마시고 힘을 내어 언덕을 오른다.
언덕 왼쪽에 성처럼 보이는 성당이 보인다. 망루에는 깃발이 펄럭이고 있다. 주변 푸른 초원과 어울려 너무 아름답다. 성당을 왼쪽에 두고 알베르게를 찾고 있는데 한국인 여성 한 분을 만났다. 그 분의 안내로 우리가 원하는 파밀리아 론칼 알베르게에서 쉬게 되었다. 이 알베르게는 깨끗하고 시설도 좋아 인기있는 곳이라고 한다.
샤워를 하고 빨래까지 마친 후 우린 캔 맥주를 하나씩 사 가지고 작은 공원으로 가서 이야기 하며 맥주를 마셨다. 생각하면 꿈과 같다. 순례길을 걸을 계획은 했지만 실제 이렇게 걷고 있다는 것이 정말 즐겁다.
|
▲ 성당에서 바라본 팜플로나 시내 풍경 |
ⓒ 이홍로 |
|
▲ 폴란드 여인이 머물던 알베르게 겸 성당 |
ⓒ 이홍로 |
이런 감정은 이 카미노 길에서만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감정을 느끼고 싶다면 꼭 이 순례길을 걷기를 권한다. 순례길을 마치고 유럽 몇 개 국가를 여행했는데 어디서도 이런 느낌은 가질 수 없었다.
▲ 성당을 산책하다 만난 폴란드 여인 |
ⓒ 이홍로 |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응원하는 방법!
☞ 자발적 유료 구독 [10만인클럽]
모바일로 즐기는 오마이뉴스!
☞ 모바일 앱 [아이폰] [안드로이드]
☞ 공식 SNS [페이스북] [트위터]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덕수 대망론'이 시대적 요구? 대선 주자들 "대행에 집중"
- 스스로를 '마루타'라 부르는 고1... 지금 학교는 이 지경입니다
- '4·3 유전자' 뭐길래... 제주 발칵 뒤집어 놓은 교사 발언
- 산으로 끌려갔다 살아 돌아온 그녀가 차마 하지 못한 말
- 2시간 동안 30여 개체 목격... 멸종동물 거주지 망치는 차량들
- 식민지 조선인들이 열광했던 얼굴보다 큰 디저트
- 왜 북향으로 집을 지어요? 목사가 내놓은 답변은
- 헌재 앞 출근도장 찍던 3선, '윤석열 파면' 사흘 뒤 한 말은?
- 어느 친일 교수의 변신... 순식간에 정치 최고봉에 오른 비결
- 감상 아닌 명상을 부르는 이우환 작가의 이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