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등 친밀 관계, 치매 위험 60%↓"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결혼을 포함, 친밀한 관계를 갖는 것이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을 막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전체적으로 꼭 결혼관계는 아니더라도 아주 가깝고 친밀한 관계를 맺고 이를 지속한 사람은 치매 발생률이 약 6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호헤르보르스트 교수는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결혼을 포함, 친밀한 관계를 갖는 것이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을 막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러프버러(Loughborough) 대학의 에프 호헤르보르스트 생물심리학 교수 연구팀이 52~90세 남녀 6천677명을 대상으로 6년 동안 진행한 조사 분석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데일리 익스프레스와 BBC 뉴스 인터넷판이 29일 보도했다.
조사 기간에 이 중 220명이 치매 진단을 받았다.
전체적으로 꼭 결혼관계는 아니더라도 아주 가깝고 친밀한 관계를 맺고 이를 지속한 사람은 치매 발생률이 약 6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호헤르보르스트 교수는 밝혔다.
이에 비해 독신 남녀는 치매 발생률이 35~44% 높았다.
또 사회적 고립 자체는 치매 위험과 관계가 거의 없었지만 외로움을 느끼는 것은 치매 위험을 44%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에 아무리 사람이 많아도 가까운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느냐가 중요하다고 호헤르보르스트 교수는 강조했다.
이 밖에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는 중년기의 난청이 9%, 낮은 교육수준 8%, 흡연 5%, 우울증 4%, 운동부족 3%, 사회적 고립 2%, 고혈압 2%, 비만 1%로 분석됐다.
이는 모두 고치려면 고칠 수 있는 요인들로 다 합치면 35%가 된다.
치매가 발생한 220명 중 남성은 88명(40%), 여성은 132명(60%)이었다. 이 비율은 전체 조사대상자 중 남성(44.5%)과 여성(55.5%)의 성비와 비슷했다.
이 연구결과는 '노인학 저널'(Journal of Geront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skhan@yna.co.kr
- ☞ '음주택시' 목숨 건 질주…술냄새 기사 알고보니 수배자
- ☞ '더 새마을 타임스', 로고 보고 뉴스사이트 인줄…
- ☞ 암 환자에 "굿·부적·기도하라"며 받은 돈이 10억
- ☞ 트럼프 탄 차량에 '손가락 욕설' 날린 女 사이클리스트
- ☞ 멕시코 대표 명절 '죽은 자들의 날' 행진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알츠하이머병 정복 한 발짝..포항공대 연구팀 치료 물질 개발
- 치매 독거노인, '1대1 시민후견'으로 돕는다
- 이총리 부부, 대학로 연극관람.."치매는 사회·정부의 숙제"
- 서울 중구치매지원센터, 국립중앙의료원이 위탁 운영
- 조국혁신당 "尹 관저 퇴거 고의 지연 의혹…당장 방 빼야"(종합) | 연합뉴스
- 태평염전 3년전일에 美 수출 차단 '우려'…"강제노동 이미 개선" | 연합뉴스
- 노래방서 여성 살해하고 야산에 유기한 종업원 "혐의 인정" | 연합뉴스
- 80대 자산가 재혼 2개월 뒤 사망…재혼녀 56억 인출 사기 무혐의 | 연합뉴스
- 내연녀 집에서 난동 피운 아내 흉기로 찌른 50대 구속영장 | 연합뉴스
- "소똥 무섭더라고요"…경북 산불 출동한 인천 소방관 분투기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