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 석쇠보다 '불판'에 구워야"
[세계닷컴]
식약청은 지난해 국민을 대상으로 유해물질 인지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식품의 제조·가공 중 만들어질 수 있는 유해물질에 대한 국민 이해도가 낮게 나왔다며 유해물질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조리법을 18일 발표했다.
식약청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음식을 할 때 생길 수 있는 유해물질에 대한 알고 있는 이들은 5% 정도에 불과했다.
음식을 만드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유해물질은 '아크릴아마이드', '에틸카바메이트', '벤조피렌' 등이 대표적이다.
아크릴아미드는 탄수화물이 풍부한 식품을 기름에 튀기거나 기름으로 부치는 등 고온 조리를 했을 때 생기는 물질이다. 에틸카바메이트는 씨 있는 과일을 원료로 술을 담글 때 나오고, 벤조피렌은 고기가 센 불꽃에 직접 닿을 경우 발생한다. 세 종류 모두 발암물질로 구분되는 인체 유해물질이다.
식약청은 '올바른 조리습관 등을 통해 이런 유해물질 발생을 충분히 예방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후렌치후라이, 감자칩, 감자스낵류 등 튀김 음식은 기름의 온도는 175℃, 오븐은 190℃를 넘지 않도록 하고, 조리 시간이 길지 않도록 하라고 권고했다. 가급적이면 120℃ 이하 온도에서 삶거나 끓이는 조리법이 가장 안전하다고 식약청은 밝혔다.
또 과실주는 씨를 제거한 후 담그고, 25℃ 이하의 온도에서 보관하는 편이 안전하다. 숯불구이를 해 먹을 경우, 타지 않도록 주의하고, 탄 부분은 제거 한 후 먹을 것을 권했다. 또 가급적이면 숯불구이나 튀김, 볶음 보다는 찌기, 삶기 등의 조리 방법을 이용할 것을 권장했다.
김현주 기자 egg0love@segye.com
[Segye.com 인기뉴스]
▶ 바로가기[ 사람을 만나다-스마트피플 ] [ 세계 SNS ][ 세계일보 모바일웹 ] [ 무기이야기-밀리터리S ]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세계일보 & 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은지원, 숨겨진 가정사 고백 “아버지 살아생전 겸상도 안 했다”
- “밤에 2번 이상 깨면 위험 신호?…‘이것’ 때문이었다”
- 18만원이 없어서 군대 면제받았는데 지금은 연 55억 버는 男배우
- 13년 만에 밝힌 진실…오정연·서장훈이 직접 공개한 두 사람의 이혼 사유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