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다 죽는다" 위기감에 野 지지층 결집 고육책

임성수 최승욱 기자 2014. 7. 25. 03: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작을 기동민 전격 사퇴 왜.. 재보선 판세 영향은

7·30재보선 서울 동작을에 출마한 새정치민주연합 기동민 후보의 사퇴는 야권 지지층 결집을 위한 고육지책으로 풀이된다. 기 후보는 24일 사퇴 기자회견장에 당에서 선거운동을 위해 선물한 파란색 운동화를 신고 왔을 정도로 완주 의사가 강했다. 하지만 수도권 참패를 막고, 본인의 정치적 미래를 고려할 때 사퇴밖에 길이 없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원내 126석의 제1야당인 새정치연합은 공천 파동까지 겪으며 전략공천한 후보를 원내 5석밖에 안 되는 제3당에 밀려 중도 포기했다는 오명을 떠안게 됐다. 또 '당 대 당' 단일화 논의가 없다고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당 대 당' 주고받기를 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부담 컸던 기 후보, 수도권 참패 위기에 결단=기 후보는 오전까지만 해도 '담판 단일화'를 주장하며 정의당 노회찬 후보의 '여론조사 단일화'를 거부했다. 노 후보는 협상이 결렬될 경우 이날 자진 사퇴할 예정이었기에 동작을 단일 후보는 기 후보가 유력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결단을 내렸다. 기 후보는 기자회견에서 사퇴 배경을 묻자 "야권이 개혁된 모습으로 국민에게 비치는 것이 아니라 실망만 시키는 것 같아 그게 가장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노 후보가 일방 사퇴하는 '아름답지 못한 단일화'로는 지지층을 결집할 수 없다고 본 것이다.

특히 각종 여론조사에서 새정치연합이 수도권에서 참패할 것이라는 결과가 나온 것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당 지도부와 야권 일각에서는 "기 후보가 양보해야 모두가 산다"는 압박도 적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안철수 김한길 공동대표가 동작을 전략공천 파동부터 기 후보의 사퇴까지 무책임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두 대표는 공식적으로 "후보 간 알아서 할 문제"라며 선을 그으면서도 "후보 간 진정성 있는 협력은 존중한다"며 이중적 태도를 보여 왔다. 단일화 부담과 책임을 기 후보에게 떠넘겼다는 지적이다. 김 대표는 기 후보 사퇴 직후 "살신성인의 결단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당내에서는 노 후보의 노회한 벼랑 끝 전략에 말렸다는 불만도 나온다.

◇사실상 '당 대 당' 연대, 효과는=기 후보가 전격 사퇴하자마자 경기 수원정에 출마한 정의당 천호선 후보와 수원병에 출마한 이정미 후보가 줄줄이 사퇴했다. 특히 동작을과 수원정은 3자 구도에서 여야 양자 구도가 되면서 야당 후보의 당선 가능성은 부쩍 높아졌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동작을은 단일화를 하더라도 새누리당 나경원 후보가 10% 포인트 이상 앞서고 있다. 그러나 야권 유력 후보 2명이 단일화하면서 지지층 결집 등 표심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 만만찮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선거 결과가 15석 중 (새누리당) 8대 (새정치연합) 7 정도로 비등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수원정 단일화는 동작을보다 효과가 더 클 수 있다. 새누리당 임태희 후보가 앞서고 있지만 새정치연합 박광온 후보와 정의당 천 후보의 지지율을 합산할 경우 엇비슷한 결과가 나온다.

문제는 유권자들이 어떻게 바라보느냐다. 새정치연합과 정의당은 후보 자진사퇴 형식을 통해 사실상 '당 대 당'으로 지역구를 주고받았다고 볼 수 있다. 지난 6·4지방선거 경기도지사 선거의 경우 통합진보당 후보의 사퇴로 보수층이 결집하는 역효과가 발생했다는 분석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새정치연합을 향해 "제1야당이 정당이기를 포기했다"고 비판했다.

임성수 최승욱 기자 joylss@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