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선침몰 사고]해상크레인 속속 도착..세월호는 완전 침몰 임박
전남 진도해역에서 침몰한 여객선 세월호를 인양할 해상 크레인 3대가 18일 사고 현장 인근에 도착했다. 전 날 하루에만 시신 16구를 인양한 해경 등은 동원 가능한 선박과 헬기를 모두 투입해 사흘째 수색에 나섰다.
현재까지 전체 승선원 475명 가운데 25명이 숨지고 271명은 실종, 179명은 구조된 것으로 집계됐다.
해상 크레인이 현장에 속속 도착하면서 해경 등은 인양계획 수립에 들어갔다.
옥포3600호(3200t), 설악호(2000t) 등 2대는 현장과 4~5㎞ 떨어진 진도 관매도 인근에서 대기 중이고 살코 1200호(1200t)는 목포에서 현장으로 접근하고 있다. 삼성2호(3350t)도 이날 오후 1시쯤 현장에 도착할 것으로 보인다.
당국은 인양 작업이 생존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도 있는 상황을 고려해 실종자 가족 동의 없이 세월호를 인양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인양 과정에서 선체가 크게 흔들릴 수 있고, 이 경우 선체 내부에 공기가 있는 공간, 이른바 에어포켓으로 해수가 밀려들어 생존자들이 위험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국은 기상 상황 및 지형 파악, 크레인 정비·점검을 하고 있으며 크레인 투입 시기가 확정되면 선체에 체인을 연결하는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잠수부를 통한 선체 내부 진입이 계속 어려울 경우 크레인 3대로 선체를 살짝 들어올려 진입 공간을 마련한 뒤 수색과 선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작업을 돕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현재 사고 현장은 가랑비가 내리고 초속 3~5m의 바람이 불고 있다. 파고는 1m 안팎이다.
안개가 짙고 너울이 심해 세월호에 접근해야 하는 소형선박이 구조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경은 경비함정 108척, 민간어선과 관공선 61척, 크레인 4대(도착 예정 크레인 포함), 잠수요원을 비롯한 구조대원 535명이 투입됐다고 밝혔다.
잠수요원들은 정조시간대를 중심으로 선체 진입을 지속적으로 시도할 방침이다. 선체에 있을 지 모를 생존자를 위해 공기 압축기(에어 콤프레셔)를 이용해 선박에 공기(산소)를 주입하는 시도도 병행한다.
선체에 진입해 현장 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무인로봇은 이날 0시 30분부터 사고 선박 주변 보트에 대기 중이지만 물살이 거세지면서 투입되지 못했다.
17일 하루에만 시신 16구가 발견되면서 시신 유실 우려도 나오고 있다.
사망자는 선체 내부 수색에 의해서가 아니라 구명조끼를 입은 상태로 바다 위로 떠올라 인양됐다. 조류가 바뀌면서 배 안에 있던 시신이 밖으로 나오기 시작한 것으로 해경은 분석했다. 시신이 떠오르는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구조 작업이 성과를 내지 못하는 동안 세월호는 완전 침몰 직전에 놓였다.
썰물 시간대인 18일 오전 9시쯤 세월호는 뱃머리 부분 50㎝ 가량만 물 위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선미 부분이 해저 펄에 박힌 채 비스듬히 서 있던 선체가 기울고 있다는 추정이 나오고 있다.
세월호는 지난 16일 오전 8시58분(해경 공식 신고접수 시각) 침수 신고 후 2시간 20여분 만에 침몰한 뒤 전 날까지 물때에 따라 높이 2~3m, 길이 20~30m를 수면 위로 드러냈다.
<최슬기 기자 skchoi@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풀려난 명태균 “어떤 먹잇감 먼저 물고 뜯을까”···윤석열 부부 수사도 영향받나
- 윤석열 퇴거한 ‘관저’ 압수수색 가능해지나···박근혜 파면 후 살펴보니
- 구속취소에 재판정 촬영도 불허…‘윤석열 봐주기’ 지귀연 재판부에 커지는 비판
- [단독]백종원의 더본코리아, 이번엔 조리시설 벌판 방치 논란…“위생 문제 우려”
- “나만의 차를 갖고 싶다”…‘2025서울모빌리티쇼’ 달군 이색 전시관
- [단독]서울 마포구서 땅 꺼짐 발생…경찰 애오개역 인근 4~5차로 통제
- 한덕수의 침묵, 길어지는 혼란…“대권 저울질, 염치 있나”
- [속보]유승민, 국민의힘 대선 경선 불참···“옳지 않은 길 발 딛지 않겠다”
- [단독] [대선 인사이드] ‘모병제’ 여론조사 돌린 민주당…이재명 공약 포함될까
- ‘위증 교사’ 혐의 재판받던 전북교육감 처남 숨진 채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