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사태가 금융권에 남긴 교훈 '낙하산 불가'

2014. 9. 30. 07: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직내 만연한 파벌 갈등 악화

[CBS노컷뉴스 이기범 기자]

KB금융지주 임영록 전 회장이 28일 전격 사퇴 의사를 밝히고 금융당국을 상대로 한 소송도 취하하기로 하면서 KB사태가 수습국면에 들어갔다. 그러나 KB사태는 낙하산 인사 근절, 이사회 역할 강화라는 과제를 금융권에 남겨 주었다.

우선 KB사태의 원인 가운데 첫 순위로 꼽히는 낙하산 인사 관행은 이번은 신임 회장과 행장 선임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차단될 것으로 보인다. 경제관료 출신의 임 회장과 학자 출신이지만 '권력 지원설'이 따라 다녔던 이건호 전 국민은행장 모두 회사와 조직을 먼저 생각하기 보다 '파워 게임'에 매몰됐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 낙하산 출신 간 충돌…내부문제 해결 못 해

이상빈 한양대 교수는 "민간 금융사로서 내부의 일을 스스로 해결하지 못한 것이 KB사태에서 가장 큰 문제였다"며 "임 회장과 이 행장은 헤게모니 쟁탈전만 벌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교수는 "이같은 행태는 서로 다른 라인을 타고 온 낙하산 관행 때문"이라며 "기본적으로 낙하산 인사는 없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이번 회장과 행장 선임에서는 KB국민은행 조직을 먼저 생각하는 내부출신이 좀 더 높은 점수를 받을 것으로 보이면서 모피아 등 낙하산 인사들은 자연스럽게 배제될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것은 이같은 분위기가 계속 유지될 지 여부이다. 현재의 '관피아 척결' '낙하산 인사 근절'분위기가 박근혜 정권 이후까지도 이어지리라는 보장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역대 지주회장과 행장 선임과 퇴출 과정에서 정권의 입김을 많이 받았던 KB국민은행으로서는 낙하산 인사 배제가 더 큰 숙제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사회의 역할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KB사태에서 지주 이사회나 은행 이사회 모두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특정인'을 지지하거나 반대함으로써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한 사태가 확대일로로 치닫고 있었을 때에는 오히려 소극적인 모습으로 일관해 감독당국의 '관치'를 자초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기웅 경실련 경제정책부장은 "이사들이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보다는 낙하산 인사들의 거수기 역할에 충실했다"며 특히 KB지주 이사회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사외이사 책임론을 거론했다.

◈ '사외이사 역할 강화돼야' 지적도

이 부장은 "사외이사들이 거수기 역할에서 벗어나려면 사외의사들에게도 책임을 묻는 풍토가 마련돼야 한다"며 "지금도 상법 등에는 사외이사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제도가 있지만 '상근이사'가 아니라는 이유로 감독당국으로부터 책임을 탕감받는 분위기"라고 비판했다.

◈ 채널1· 채널2 등 내부갈등 악화

KB사태는 또한 KB와 국민은행 내부에 만연된 '채널 갈등'을 더욱 악화시켰다. 임 회장 취임 이후 주요 보직은 '채널2(주택은행)출신'이 장악했다며 국민은행 출신('채널1')들의 심기가 편치는 않았다. KB사태는 이같은 채널갈등을 더욱 악화시켰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KB와 국민은행이 새 회장과 행장을 선임한 뒤 '리딩뱅크'의 위치를 다시 찾아가기 위해서는 '채널간 갈등'을 극복하고 조직화합을 이루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CBS노컷뉴스 이기범 기자 hope@cbs.co.kr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