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명칭 '박근혜정부' 공식 결정
[머니투데이 이상배기자][(상보) "별도 정부 명칭, 해외 사례 거의 없어"]
새 정부의 명칭이 '박근혜 정부'로 공식 결정됐다. 이에 따라 이명박정부에 이어 연속으로 별도 명칭없이 대통령 이름으로 정부 명칭을 갈음하게 됐다.
윤창중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대변인은 6일 서울 삼청동 금융연수원 '인수위 공동기자회견장'에서 브리핑을 갖고 "오늘 오전 인수위 전체회의를 열고 새 정부의 명칭을 박근혜 정부로 공식 결정했다"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외부 전문가들을 상대로 포커스 인터뷰를 실시하고 수차례 간사회의에서 논의한 결과, 박근혜 정부, 민생정부, 국민행복정부 등 당선인의 국정철학을 보여주는 명칭으로 압축했다"며 "이어 인수위는 새 정부 명칭을 박근혜 정부로 하고, 국정철학은 국정비전에 반영하기로 의견을 모은 뒤 당선인에게 이 같은 내용을 보고하고 동의를 받아 오늘 전체회의를 열어 공식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 이후 역대 대통령들은 '문민정부'(김영삼), '국민의정부'(김대중), '참여정부'(노무현) 등 별도의 명칭을 스스로 부여했으나 이명박 대통령은 당선인 당시 개인의 브랜드 이미지 등을 고려해 '이명박정부'라는 명칭을 선택했다.
윤 대변인은 "별도의 정부 명칭을 사용할 경우 헌법 정신과 해외 사례 등을 감안할 때 적절하지 못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며 "같은 헌법 아래 정부가 스스로 명칭을 정하는 것은 어색할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별도의 정부 명칭을 사용하는 사례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는 의견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인수위는 인수위 백서 발간을 위해 7명으로 이뤄진 '백서 발간팀'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현행 법상 인수위는 인수위 활동 경과 및 예산 사용 명세 등을 백서로 발간, 인수위 활동이 끝난 뒤 30일 이내 공개해야 한다. 인수위 활동을 사료화해 차기 정부에 참고자료로 활용하는데 발간 목적이 있다.
인수위는 이날 오후 4시 전국 시도지사 협의회와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한편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과 관련, 윤 대변인은 "아직까지 아무런 움직임이 없다"고 밝혀 이날도 총리 인선 발표가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2013년은 스몰캡 종목이 승부를 낸다, '2013년 투자 포인트 10계명']
[머니투데이 핫뉴스]☞ "사표내고 치킨집이나?" 얼마나 버나 봤더니… ☞ 집주인 통곡 "月이자 100만원, 7억집 팔려도…" ☞ "첫날밤 남편 전자발찌 봤는데, 이혼안돼" 괴담 ☞ 박정희 "우리도 핵개발, 88%완료"… 지금은? ☞ 착한가격 '코란도 투리스모' 출시, 내부 보니
[book]10년차, 밥줄을 놓치면 꿈줄도 놓친다
[핫이슈]커지는 환율 공포, 대책은?
머니투데이 이상배기자 ppark@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