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일본, 아시아서 중국 견제 역할 맡아야"
"중국 무력행보 우려…책임감 있게 행동해야"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일본이 중국을 견제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베 총리는 26일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법치가 아닌 무력으로 현 상황을 바꾸려 한다는 우려가 있다. 평화가 깨지는 만큼 중국은 이런 길을 가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많은 국가가 일본이 중국에 대해 이런 우려를 강하게 표명하기를 기대한다"면서 "이(일본의 표명)에 따라 중국이 국제 사회에서 책임감 있게 행동하는 것이 이런 국가들의 바람"이라고 주장했다.
아베 정권의 대외정책을 '우파 군국주의'로 성토해온 중국은 이 발언에 대해 즉각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고 WSJ는 전했다.
아베 총리는 최근 아시아·태평양 순방을 언급하면서 "아·태 지역에서 일본은 경제뿐만 아니라 안보 측면에서도 지도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기대를 받는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는 아베 총리가 작년 12월 취임 이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국가 정상들을 대거 만나면서 갖게 된 자신감의 표명으로 읽힌다.
국제 사회에서는 아베 총리가 중국의 영향력이 강한 동남아와의 관계를 강화해 중국 견제의 초석으로 삼으려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베 총리는 12월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10개국 정상을 일본에 초대해 일-아세안 수교 40주년 행사를 열 계획이다.
아베 총리는 그러나 이런 적극적 외교 행보에도 예외적으로 한국·중국과는 정상 회담을 하지 못했다고 WSJ는 지적했다.
일본은 위안부 논쟁과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의 과거사 문제로 한국과 신경전을 계속하고 있다. 중국과는 댜오위다오(釣魚島ㆍ일본명 센카쿠 < 尖閣 > 열도) 영토 분쟁으로 갈등이 최고치에 오른 상태다.
최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아시아 중심축' 전략이 쇠퇴한다는 지적과 관련해 아베 총리는 구체적인 논평을 피하면서도 '미국의 리더십을 믿고 지지한다'는 원론적 답을 내놨다.
'아베노믹스'와 관련해서는 "내 성장 정책에 대해 다양한 비판이 나온다는 것을 안다"면서 "내 정책에 눈을 끄는 대목은 부족하지만 중요한 것은 결과"라고 말했다.
그는 또 증세 여파로 4∼6월 일본 경제가 다소 침체를 겪었을 것이라면서 "경제가 7∼9월 얼마나 회복했는지를 신중히 보고 적절한 결정을 내리겠다"고 설명했다.
tae@yna.co.kr
☞ 군·경, 독도방어훈련 실시…UDT병력 이례적 독도상륙(종합) ☞ 한채영, KBS '예쁜 남자'로 안방극장 복귀 ☞ 합참차장 김현집, 수방사령관 김용현…軍인사(1보) ☞ '괴물 투수' 류현진 29일 금의환향…11월2일 기자회견 ☞ 합참차장 김현집, 수방사령관 김용현…軍인사(종합) ▶연합뉴스앱
▶인터랙티브뉴스
▶화보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朴대통령, 케리 美국무 환담..한반도정세 논의(종합3보)
- 朴대통령 강대국 각축장 동남아서 '전략공간' 마련
- 아베, 아세안에 집단자위권 이해 촉구.."안정 기여"(종합)
- <朴대통령, 인니·브루나이서 오바마 못본다>(종합)
- 朴대통령 "日, 위안부 할머니에 사과커녕 계속 모욕"(종합)
- "사랑해요" 사고 전날이 마지막…헬기 순직 조종사 아내 오열 | 연합뉴스
- [샷!] "불 번지는데 '17년지기' 혼자 둬 너무 불안" | 연합뉴스
- "내 딸 때렸어?" 아동 세워놓고 추궁한 30대…학대죄 될까 | 연합뉴스
- '종교 전도 받아 집 드나든 건데…' 스토커 몰린 60대 무죄 | 연합뉴스
- 아시아나 필리핀발 인천행, 기장이 여권 잃어버려 15시간 지연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