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나오셨습니다?" 엉터리 존댓말 판친다
한승연 2014. 10. 8. 22:29
<앵커 멘트>
내일이 한글날인데요.
우리가 잘못 사용하고 있는 어법중에 사물을 존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서비스 업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한승연 기자가 그 실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녹취> "커피 나오셨습니다.", "이쪽이 라떼십니다."
엉뚱하게도 사람이 아닌 사물에 대해 존댓말을 쓰는 현실을 풍자하는 영상입니다.
이런 행태는 일상에서도 쉽게 목격됩니다.
서울의 한 대형 마트입니다.
손님이 옷의 가격을 물어보자...
<녹취> 마트 점원 : "(이거는 얼마예요?) 2만9천9백원이십니다."
옷의 치수를 물어봐도.
<녹취> 마트 점원 : "M사이즈가 없으시네요."
점원은 옷을 높이는 말을 대화 중에 자연스럽게 쓰고 있었습니다.
<녹취> 마트 점원 : "고객님들한테 존칭을 하다보니까 무의식적으로..."
사물 존대의 잘못된 표현은 이런 마트나 백화점과 같은 서비스 업계에서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혜원(국립국어원 공공언어과장) : "고객에 대한 무조건적인 존대와 존칭을 요구하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사물 존대가 과도하게 범위가 확대된 경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국립국어원은 유통업계에서 고객 서비스를 강조한 2천년 대 이래로 잘못된 사물 존대 표현이 폭넓게 쓰이고 있다며, 올바른 어법을 쓰도록 범사회적인 계도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한승연입니다.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KBS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단독] 재소자가 스마트폰·전자담배 반입…교정시설 ‘구멍’
- ‘1박 2일’ 베란다 갇힌 노인…순찰 경찰관이 구조
- 헌재, ‘헌법재판관 지명’ 임명 효력정지 가처분 인용
- 일본도 관세 협상단 급파…신속보다 ‘신중 접근’
- ‘체포영장 방해’ 대통령실 압수수색…대치 끝 또 불발
- 업무 혼란 속 PA 간호사…“리스크 큰데 보상 없어”
- “TV 수신료, 공영방송 운영에 본질적 요소…결합징수 법안 통과돼야”
- 11년간 괴롭힌 막말과 모욕…유가족들의 선택은?
- ‘초고속 산불’에도 인명 피해 ‘0’…무엇이 달랐나?
- 손만 닿아도 흘러내리는 땅…커지는 산사태 2차 피해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