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받을 만하다" VS "놀랍고 충격적"
[서울신문]노르웨이 노벨위원회가 12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을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발표하자 "받을 만하다."는 반응과 "놀랍고 충격적"이라는 반응이 섞여 나오고 있다. 특히 유럽이 심각한 재정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노르웨이가 속한 EU가 다른 경쟁자들을 제치고 노벨평화상을 거머쥐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노벨평화상 수상자 발표를 앞두고 노르웨이 노벨위원회 안팎에서는 EU를 비롯해 동유럽 인권운동가나 종교지도자가 상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무성했다. 토르비에른 야글란 노벨위원회 위원장은 수상자 발표에 앞서 가진 인터뷰에서 "올해 평화상 수상자는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약간의 논쟁을 야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혀 EU의 수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어 NRK방송은 "몇 시간 뒤 재정 위기 극복을 위해 몸부림치고 있는 EU가 노벨평화상 수상자가 될 것"이라고 전하면서 "노벨위원회 5명의 만장일치로 수상자가 결정됐다."고 밝혔다. 노벨위원회가 공식 발표하기도 전에 위원장 인터뷰 등 언론을 통해 EU의 수상 가능성이 노출된 것이다.
EU의 수상에 EU와 각국 지도자들은 "유럽의 모든 '시민'이 자랑스러워해야 할 일"이라고 축하했다. 헤르만 반롬푀이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우리 모두는 EU가 공로를 인정받은 데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기뻐했다. 올리 렌 EU 집행위원회 통화·경제 담당 집행위원은 "경제 문제가 있지만 오늘은 축하해야 하는 날"이라며 "유럽의 가치가 인류 보편의 가치로 인정받아 자랑스럽고 모든 유럽인이 누려야 할 기쁨"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올해 노벨평화상 후보로 거론됐던 러시아 인권단체 '모스크바 헬싱키 그룹' 대표 류드밀라 알렉세예바는 EU의 수상이 옳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란의 정치범들에게 평화상이 수여됐다면 이해할 만했을 것"이라며 "EU는 거대한 관료 조직으로 노벨평화상이 EU 정책에서 아무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벨위원회의 결정은 EU의 과거 업적보다는 격려에 방점을 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AFP통신은 "EU가 부채 위기를 극복하려고 고투하는 힘든 시기에 수상하게 됐고 이는 EU의 사기를 북돋워 줄 것"이라고 전했다. 야글란 위원장도 "이 상은 EU가 앞으로 나가기 위해 그들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라는 메시지"라고 밝혔다.
하지만 당장 EU가 재정 위기에 허덕이는 데다 세계 경제 침체의 한축으로 지목되면서 남유럽과 북유럽 간 갈등도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노벨평화상을 받는 것이 합당한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된다. 1983년 노벨 평화상을 받은 폴란드의 레흐 바웬사는 EU의 수상 소식에 "불쾌하다."고 반응한 뒤 "EU가 유럽과 세계를 평화롭게 변화시킨 것은 맞지만 그 대가는 이미 받았다. 그러나 많은 활동가는 희생을 치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네덜란드 정치인으로 반이슬람주의자인 거트 와일더스는 트위터에 "유럽 모든 국가가 비참하게 무너지고 있는데 EU에 노벨상이라니, EU 상임의장은 오스카상을 받게 되나."라고 비꼬았다. 영국 보수정당인 영국독립당 당수인 나이젤 파레이즈는 "완전히 망신이라고 생각한다."며 "노벨평화상이 완전히 오명을 썼다."고 비판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모텔 지하서 발견된 女시신, 누가 버렸나 보니☞ [사건 Inside] (46) "사실은 내가 재벌 친척인데…" 장흥교도소 '범털'의 비밀☞ 김장훈, 싸이와 화해 이틀만에 "한국을…"☞ 새누리 女선대위원장, 빨간 스키니 입고…☞ 여성부, 싸이 노래 유해하다더니 결국엔…☞ 안철수-문재인, 바쁜 와중에 챙겨본 영화는…
▶ 2013년 계사년 뱀띠해, 나의 신년 운세는 어떨까?
▶ 관심종목에 대한 증권 전문가의 상세한 진단과 분석 서비스
▶ 최신 속보와 뉴스 검색을 서울신문 모바일 웹에서 m.seoul.co.kr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서울신문( www.seoul.co.kr) [ 신문 구독신청]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