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년 만의 최악 가뭄] "가뭄 대응 조직·매뉴얼·경보 전혀 없어.. 2년 연속 가뭄 닥치면 버텨내기 힘들어"

2015. 3. 30. 02: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변희룡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교수

[서울신문]"현재 중부지방의 가뭄은 관측 이래 '최악'입니다. 특히 개성과 강화도의 상황이 매우 극심해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절대적인 양도, 평년과 비교한 상대적인 양도 '최소'입니다."

변희룡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교수는 29일 이번 가뭄을 '관측 이래 최악'이라는 말로 설명했다. 변 교수가 고안한 계산법으로, 현재 남아 있는 물의 양을 계산하는 '유효강수량'과 남아 있는 물의 양이 평균보다 얼마나 모자란지를 가늠하는 '유효가뭄지수'(EDI)가 모두 역대 '최소'라는 것이다.

가뭄의 원인이 '지난해 여름의 마른장마' 때문이라는 일부 의견에 대해 변 교수는 "그건 여러 이유 중 하나일 뿐"이라고 말했다. 변 교수는 그보다 지난겨울 엘니뇨 때문에 남풍이 약해진 것이 더욱 주요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지난겨울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북태평양고기압이 약화됐고, 이에 저기압의 경로가 남편향되고 약화됐다"며 "남풍이 약해 지리산을 넘지 못한 수증기가 남쪽에만 비를 뿌리는 반면, 그 위로는 올라가지 못하는 '비그늘 효과'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변 교수는 '가뭄주기설'을 주장하고 있다. 삼국사기, 조선왕조실록 등에 남아 있는 가뭄 기록을 분석한 결과 6년, 12년, 38년, 124년의 주기가 있다는 것이다. 변 교수는 "2015년은 38년을 주기로 한 가뭄기의 정점이자 124년을 주기로 하는 극대 가뭄기의 시작점이 되는 중요한 해"라고 경고했다.

향후 기상 전망도 어둡게 내다봤다. 변 교수는 "2025년을 정점으로 해서 올해부터 그때까지 해마다 가뭄 상황이 더 심각해질 것"이라며 "현재 우리나라 물 살림이 한 해 가뭄은 견디지만, 연속 두 해까지는 버텨 내기 힘든 실정이라 큰 문제"라고 우려했다. 가뭄 대책과 관련해서는 "가뭄이 발생하면 대응하는 조직이 있어야 하는데, 조직도 없고 매뉴얼도 없으며 기상청은 가뭄 경보도 발표하지 않고 있다"면서 "'가뭄대책반' 같은 조직의 일원화, 정책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 화이트데이 인기 운세 50% 할인 이벤트] [ 서울신문 구독신청]

[ 서울신문 페이스북] [ 서울신문 전체보기] [ 포토뉴스 서울EYE] [ 동영상뉴스 서울TV] [ 놀라운 글로벌세상 나우뉴스]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