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학계 "학문적 신빙성 결여.. '하나의 중국 만들기' 정치적 의도"

황경상 기자 2012. 6. 6. 22: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역사학계는 만리장성의 길이를 대폭 늘이려는 중국의 시도가 학문적으로는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보고 있다. 축조한 주체와 시기가 다른 각지의 여러 성곽을 묶는 것은 만리장성의 본래 개념 자체를 모호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다만 방대한 영토와 민족을 '하나의 중국'으로 가져가려는 목적을 역사적으로 뒷받침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숨어 있다고 평가한다.

김현숙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이번 발표는 갑작스럽게 돌출됐다기보다 중국이 계속 진행해온 것이며 신장위구르 지역까지 포함돼 있는 것을 보면 고구려·발해 지역만을 겨냥한 것은 아니다"라면서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추구라는 목적 아래 현재의 영토 안에 들어 있는 모든 지역의 역사를 모두 중국사로 편입시켜 과거사를 현재적 관점으로 만드는 중국의 역사인식 틀 안에서 진행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남의현 강원대 교수(역사학)는 "만리장성의 범위를 넓혀간다는 자체에 집착하기보다 새로운 중국 만들기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 중요하다"며 "현재의 중국은 경제개방 이후 자신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중요한 시기를 맞았는데 중국의 상징인 만리장성을 역사적 구심점으로 삼아 민족단결을 이뤄 나가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렇듯 정치적 의도가 섞여 있기에 만리장성 확장 시도는 학문적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게 중론이다. 이형구 선문대 명예교수(고고학)는 "2010년쯤 지린성 퉁화현에서 장성이 나왔다고 발표한 적이 있어 현지답사를 했는데 일단 부여·고구려의 성으로 추정되는 데다 성과 성을 연결하는 유적이 전혀 없어 장성이라고 보기도 어려웠다"며 "2년 뒤인 이제는 헤이룽장성까지 만리장성을 확대한다고 하지만 발해나 금나라의 유적이라면 모를까 (오늘날 말하는 만리장성의 원형이 갖추어진) 명나라 시절에는 그곳까지 진출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남의현 교수는 이번 만리장성 공정에 중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소수민족의 독립도 막으려는 의도가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신장위구르 지역까지 만리장성 범주에 넣은 것은 유목민족이 지역 방어를 위해 쌓은 성의 흔적까지도 만리장성 범주에 포함하겠다는 것"이라며 "장성이라고 보기 어려운 명나라 때의 변장(邊墻)은 그렇다쳐도 청나라 때 쌓은 유조변(柳條邊)까지 장성에 포함하려고 하면 만리장성의 개념 자체가 흐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황경상 기자 yellowpig@kyunghyang.com>

경향신문 '오늘의 핫뉴스'

▶ "전두환 손녀 호화 결혼식" 사회 본 아나운서…

▶ "성적 결함 숨기고 결혼"… 남편, 결국

▶ '데이트 비용' 90만원 낸 남성… 女 붙잡고

▶ '수시로 마시는 '1회용 커피'… 이럴수가'

▶ 남자 대학생 50% '성경험'… 여대생은?

모바일 경향 [New 아이폰 App 다운받기!]| 공식 SNS 계정 [경향 트위터][미투데이][페이스북][세상과 경향의 소통 Khross]- ⓒ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경향신문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