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6년 만에 광우병 재발] 일부 대형마트 판매 중단.. 불안한 시민들 "수입산 보기도 싫다"
"3년 전부터 미국산을 끊고 호주산만 가끔 먹었는데, 이젠 값이 비싸도 한우만 먹기로 했어요."
미국에서 광우병 소가 발견됐다는 소식이 전해진 25일 서울역 롯데마트 육류코너는 한산했다. 생필품이나 식음료 등 다른 코너가 각종 세일 행사로 붐비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한우를 사러 온 손님들만 간간히 보일 뿐이었다. 주부 정모(39) 씨는 "또 다시 광우병 소동이 일어나는 것을 보니 이젠 수입산은 쳐다보기도 싫다"고 말했다.
이런 분위기를 의식해서인지 마트 측은 발 빠르게 움직였다. 미국산과 호주산 쇠고기가 나란히 진열돼 있던 수입육 매대는 모두 호주산 제품으로 교체했다. 매장 한 켠에는 '당분간 미국산 쇠고기 판매를 중단한다'는 안내문을 내붙였다. 마트 관계자는 "미국산 쇠고기를 모두 창고에 보관하고 안전성을 확신할 수 있을 때까지 판매를 보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날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를 비롯한 상당수 유통업체들은 미국산 쇠고기에 대해 판매를 중단했다. 기업형 슈퍼마켓 중에선 GS수퍼마켓와 롯데슈퍼가 동참했다. 소비자들의 불안이 커지는 것을 감안, 서둘러 대응에 나선 것이다.
현재 각 대형마트에서 판매되는 전체 쇠고기 가운데 미국산 비중은 약 10% 수준. 한우가 60%, 호주산이 30%인데 반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하지만 지난 2008년 광우병 파동 당시 안전성 문제가 대두된 뒤 점차 떨어지다가 지난해 구제역 파동의 영향으로 다시 소비가 회복되던 추세였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번 광우병 관련 뉴스가 국내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지나치게 부추길까 경계하는 모습도 보였다. 문제가 된 소가 미 캘리포니아산 젖소라는 점 때문. 한 관계자는 "미국산 쇠고기 전체가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니고, 국내 수입되는 상품은 젖소가 아닌 육우여서 사실상 위험은 크지 않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인지 이마트 등 일부 업체는 곧바로 판매 중단에 들어가지 않고 정부 발표를 지켜본 뒤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홈플러스는 이날 미국산 쇠고기의 판매 중단을 선언했다가 오후 늦게 다시 재개하기도 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또 다시 반복된 먹거리 안전 우려로 외국산 쇠고기 소비를 줄이겠다는 목소리가 압도적이었다. 직장인 김모(37)씨는 "20여년 전부터 미국은 물론 영국 등 유럽에서도 광우병 걸린 소가 발생했는데 여전한 것 같다"고 우려했다. 주부 김모(30)씨는 "미국 내 다른 지역에서도 캘리포니아와 비슷한 도축 시스템과 사육 환경인 걸 감안하면 이번 미국 광우병 사태를 절대로 가볍게 볼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후 늦게 검역 및 수입 중단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소식에도 일부 소비자들은 분통을 터트렸다. 한 시민은 "정부는 미국과 FTA 체결 전, 안전성 논란을 피해 퍼주듯 쇠고기 수입을 결정하더니, 이렇게 문제가 터져도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정말 국민 건강을 생각하는 게 맞냐"고 말했다. 한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미국은 30개월 이상 쇠고기 수입 전면 개방을 요구하는 등 개방 압력을 높여가고 있다"며 "정부는 이에 굴하지 말고 당장 수입 중단조치를 취하고 졸속으로 마련한 수입위생조건 등을 다시 점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ㆍ 황석영 새 장편소설 전격 연재 [바로 보기] |
ㆍ 술접대 재벌과 은밀한 관계 연예인 알고보니 |
ㆍ 여배우 은밀한 부위 노출에 "스트레스가…" |
ㆍ F컵 女스타 적나라한 애정행각 사진이… 헉! |
ㆍ [포토] 걸그룹 김포공항 총집합 '공항패션 대결' |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