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김형태·문대성 '확인후 조치' 논란(종합2보)
일부 비대위원 선제적 '출당' 조치 요구
(서울=연합뉴스) 심인성 현혜란 기자 = 새누리당이 성추문 논란에 휩싸인 김형태 당선자와 논문표절 의혹을 받고 있는 문대성 당선자 처리 문제를 놓고 논란을 빚고 있다.
당 지도부는 `사실관계 확인후 결정'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나 일부 비대위원을 비롯한 당 일각에선 미온적 대처를 지적하면서 출당 등 선제적 조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16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 직후 두 당선자 처리 문제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것에 대해서는 지난번에 제가 당의 입장을 발표했지 않습니까"라면서 "사실이 확인되면 거기에 따라 당이 (결정) 할 테니까 더 되풀이할 필요는 없는 얘기"라고 밝혔다.
그는 앞서 지난 13일 4ㆍ11 총선 중앙선대위 해단식에서 이 문제와 관련, "사실관계 확인 후 입장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특히 회의에서 "대학에 맡기거나 법정 공방으로 가면 결론이 날 것이고, 그(것)에 따라 당규에 근거해 조치하면 되는 것"이라고 밝혔다고 황영철 대변인이 전했다.
황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중요한 것은 '팩트'(사실관계)라고 생각하고 문 당선자와 관련해선 학교 측에서 결론을 내는 것으로 하고 있고, 김 당선자는 법정 공방으로 가고 있어 이 부분은 우리가 간섭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면서 "학교나 법조 쪽에서 조속한 결론을 내주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법정 공방, 학교 측의 입장이 정리되고 나면 그것에 따라 당이 신속하고 확실한 입장을 내놓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선제적 대응론자인 이준석 비대위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김 당선자 처리 문제와 관련해 "상식대로라면 사법절차 없이도 본인이 당을 나가야 한다"면서 " "비선과 여러 통로를 통해 자진사퇴를 계속 권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공천과정에서 성추문 전력자들이 문제가 됐다'는 기자들의 질문에 "형성평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황 대변인은 두 당선자에 대한 당의 대응이 미온적이라는 지적에 "외부 비대위원 중에서도 법정공방 또는 대학 측에 입장을 맡기고 결론이 난 다음에 당의 입장을 정하는 게 좋겠다는 분도 있었다"며 "특히 대학이 내린 결론에 이런저런 의견을 다는 것은 대학의 자율성을 훼손하는 것이어서 입장을 지켜보는 것이 낫다는 말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핵심 당직자도 "우리도 김 당선자를 보호할 이유가 하나도 없다"면서 "다만 아직 결론을 내릴만한 부분이 안 나왔기 때문에 기다려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19대 국회 개원 전에 당에서 출당 조치를 취할 경우 `당선 무효가 된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중앙선관위는 당선 무효가 아니라 당적만 없어지고 소속이 무소속으로 바뀐다는 유권해석을 내렸다.
sims@yna.co.kr
runran@yna.co.kr
☞ < 靑, 18대국회 회기내 `MB입법' 처리 막판 노력 >
☞ 가수 조덕배, 혼인신고 17년 만에 결혼식
☞ "인플루엔자 여전히 유행 중..개인위생 철저해야"
☞ 리듬체조 손연재, 월드컵 대회서 리본 종목 6위
☞ 정부 "광명성 발사후 불확실성 되레 해소"(종합)
<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
< 포토 매거진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준석 "비대위 내일 김형태·문대성 논의"
- 박근혜 "약속, 반드시 해내야 하는 것"(종합)
- 이준석 "비대위, 성추문·논문표절 당선자 쇄신"
- "사랑해요" 사고 전날이 마지막…헬기 순직 조종사 아내 오열 | 연합뉴스
- [샷!] "불 번지는데 '17년지기' 혼자 둬 너무 불안" | 연합뉴스
- "내 딸 때렸어?" 아동 세워놓고 추궁한 30대…학대죄 될까 | 연합뉴스
- '종교 전도 받아 집 드나든 건데…' 스토커 몰린 60대 무죄 | 연합뉴스
- 아시아나 필리핀발 인천행, 기장이 여권 잃어버려 15시간 지연 | 연합뉴스
- 김동연, 文소환 통보에 "기가 찰 노릇…검찰, 누구에 충성하나" | 연합뉴스
- "산불감시원 퇴근 시간 다 알아"…대형산불에도 불법 소각 여전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