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길한 7%', 구제금융행 불변티켓은 아니지만..

2012. 6. 20. 10: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그리스 등 7% 얼마뒤 '구제'"유럽처럼 성장률 0 가까우면7% 넘으면 이자 감당 못해"

'7%'. 국내외 금융시장에서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금리)이 이 숫자를 웃돌면 '심리적 마지노선이 뚫렸다'거나 '디폴트(채무 불이행) 경계선을 넘어섰다'는 우려가 쏟아진다. 스페인이 지난 9일(이하 현지시각) 최대 1000억유로(약 146조원)의 은행권에 대한 구제금융을 요청한데 이어 18일 국채 금리가 7%를 넘어서자, 시장의 불안한 시선이 그리스에서 다시 스페인으로 쏠리고 있다. 국채 금리 7% 초과가 왜 '위험 지표'로 쓰이는 것일까?

우선 경험칙에서 그 답을 구할 수 있다. 그리스, 아일랜드, 포르투갈의 국채 수익률이 7%를 넘어선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모두 구제금융을 신청했다. 스페인이 '피그'(PIG·포르투갈, 아일랜드, 그리스)의 전철을 밟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스페인의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지난해 이맘때만 해도 5%대 초반에 머물렀지만, 18일 장중 한때 7.29%까지 상승했다가 7.11%에 거래를 마쳤다. 스페인도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인한 압박을 못이겨 결국 정부 차원의 구제금융을 요청할 수밖에 없지 않냐는 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신동수 엔에이치(NH)농협증권 연구원은 "국채가 부실화하면 국채를 담보로 자금을 조달하는 은행권에선 채권을 매도하려는 압력이 커지면서, 국채의 금리가 더 뛰는 악순환이 빚어진다"고 말했다.

국채 수익률 7%가 구제금융으로 가는 불변의 법칙은 아니다. 최동철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브라질처럼 기준금리 자체도 높고 연간 7~8%씩 성장할 수 있는 나라는 국채 금리가 10% 안팎이라 하더라도 충분히 상환할 수 있다"며 "유럽처럼 성장률이 거의 제로(0)에 가까운 나라들이 국채 금리가 7%를 넘어서면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없게 되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각각 3.64%, 1.58% 수준이다.

유럽의 채권시장에서 환매조건부거래(레포)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도 7%가 마지노선으로 인식되는 배경이다.

특정 국가의 채권은 보통 3년 또는 10년을 만기로 발행되지만, 유통시장에서 금리가 일정 수준을 넘으면 채권을 보유한 금융기관은 만기 이전이더라도 발행한 국가에게 환매를 요구할 수 있다. 여기에다 선물시장에서도 '마진 콜(증거금 추가 납부)'이 한꺼번에 몰리면 국채 발행국의 자금 압박이 가중된다. 현재 유럽 채권시장에선 독일 등 '트리플 에이'(AAA) 신용등급 국가의 국채와 금리 차이(스프레드)가 4.25~4.75%포인트를 넘으면 마진 콜이 발동되는데, 이게 보통 7%선 안팎이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전두환이 자랑스런 동문? 대구공고 자료실 논란만취해 경찰 때린 새누리 당직자는 풀어줘안철수쪽 "최근 민주당 발언은 상처내기"권력 횡포 '학림사건' 일조, 사과않는 황우여·이강국…아이폰 생산업체 회장 "한국인, 뒤에서 칼 꽂아"

공식 SNS [통하니][트위터][미투데이]| 구독신청 [한겨레신문][한겨레21]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