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체제 존립 보장 받았지만 무소신 눈총

남상훈 기자 2015. 7. 8. 19: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순망치한' 관계 劉와 완전 절연.. 친박계와 손잡고 총선까지 갈듯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8일 결국 '순망치한(脣亡齒寒·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림)' 관계인 유승민 원내대표의 손을 완전히 놓았다. 대신 유 원내대표 사퇴를 압박한 박근혜 대통령의 품에 안겼다.

김 대표가 일단 박 대통령과 공생관계를 유지하게 된 것은 이번 '유승민 정국'의 성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원하는 대로 유 원내대표를 사퇴시킨 만큼 최소한 김 대표 체제를 흔들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김 대표로선 박 대통령의 지원 아래 두 달만 버티면 대표직을 굳건히 지킬 수 있는 시기를 맞을 수 있다. 9월부터 정기국회·국정감사·예산안 심사가 시작되는 동시에 사실상 '총선 체제'가 가동되기 때문이다.

심각한 표정의 金대표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왼쪽)가 8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가 끝난 후 심각한 표정으로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 김 대표는 당 지도부의 유승민 원내대표 사퇴 권고를 추인한 의총 결과를 유승민 원내대표에게 전달했다.이재문 기자

당내 친박과의 전략적 제휴관계를 맺은 것도 소득이다. 김 대표는 유 원내대표 거취와 관련해 친박 최고위원들은 물론 김재원, 윤상현 의원 등 청와대 정무특보단과도 의견을 조율했다. 자신을 견제하는 친박계와 긴밀한 핫라인을 가동하는 등 전략적 제휴를 맺어 자신을 공격하는 기회를 사전에 차단한 것이다. 김 대표와 친박계가 유 원내대표 사퇴와 대표 체제를 맞바꾼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다만 양측은 내년 총선 공천 국면에 돌입하면 충돌할 소지가 많아 이번 제휴는 일시적 휴전이라는 게 중론이다.

김 대표의 리더십엔 적잖은 타격이 예상된다. 박 대통령과 유 원내대표가 극렬히 대치하는 가운데 '캐스팅 보트'를 쥐었던 김 대표가 박 대통령 눈치만 보며 소신행보를 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박 대통령의 의지를 좇아 유 원내대표 사퇴 쪽으로 기울며 중재력도 발휘하지 못했다. 한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참여 등 지지층을 넓히는 광폭 행보를 보였던 김 대표의 리더십은 실종됐다"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이날 '유 원내대표 거취와 관련해 전날 청와대와 연락을 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내가 무슨 맨날 청와대랑"이라며 발끈했다. 유 원내대표 거취를 청와대와 상의하거나 지침을 받아 결정한 것이 아니다고 강변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유 원내대표 사퇴 권고안 채택은 '당을 위한 결단'임을 강조했다. 그는 결의안 채택과 관련해 "내가 총대를 메야지. 남 탓을 할 수도 없고 사람들(유 원내대표와 친박)이 타협도 하고 굽힐 줄도 알고 이래야 되는데…"라며 "참 자기 고집만 피우고. 똑같아"라고 말했다.

남상훈 기자 nsh21@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