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靑 "검찰 수사 지켜보자"→ "李총리 자진사퇴 한다면 수용"
靑 컨트롤타워 총체적 위기 시간 끌수록 국정 동력 상실 문창극때 朴순방후 3일뒤 사퇴 스스로 거취 정하게 시간주는듯
16일부터 27일까지 장장 12일 동안 이어지는 박근혜(사진) 대통령의 중남미 4국 순방은 신(新)시장개척 등 경제 활성화를 위한 계기인 동시에 정권 최대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탈출구를 찾아야 하는 '골든 타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 대통령이 지난해 6월 16∼21일 중앙아시아 3국 순방을 통해 문창극 전 국무총리 후보자 거취 논란을 매듭지었던 것처럼, 이번에도 12일간의 말미를 활용해 정국 돌파 구상을 가다듬을 것이란 전망이다.
박 대통령은 15일 정부 회의를 한 차례 주재하는 것 외에 다른 일정을 최소화한 채 국정운영 구상을 다듬었다. 순방 준비에 매진하면서도 '성완종 리스트' 파문의 해법을 구상하는 데 시간을 할애한 것으로 보인다.
이완구 국무총리에 대한 즉각적인 사퇴 요구가 야권을 넘어 여당으로까지 확산됐지만 청와대는 외형상 "검찰 수사를 지켜보자"는 원론적인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문화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이 총리에게 어떤 식으로 돈을 전달했는지 기본적인 사실관계를 놓고도 주장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다"며 "성역 없이 엄정히 수사하라고 밝힌 만큼 결과를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순방을 마치고 돌아올 때까지 청와대의 이 같은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장담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무죄추정의 원칙'도 중요하지만 사실상 '식물 총리'로 전락했을 뿐 아니라 검찰의 핵심 수사 대상에 오른 이 총리를 장기 방치할 경우 뒤따를 정치적 부담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이 순방 기간 이 총리를 둘러싼 추가적인 의혹 제기와 이 총리의 해명, 검찰의 수사 진척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단'을 내릴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문 전 총리 후보자 사퇴 과정과 마찬가지로 박 대통령이 순방 기간을 이용해 이 총리 스스로 거취를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을 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문 전 총리 후보자는 박 대통령이 순방을 마치고 돌아온 3일 뒤인 지난해 6월 24일 자진사퇴했다.
"이 총리가 자진사퇴하면 박 대통령으로서는 수용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는 청와대 관계자의 발언에 이 같은 뉘앙스가 담겨 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누구를 비호할 필요도 없고 그럴 수도 없다"고 말했다.
오남석 기자 greentea@munhwa.com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