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는 '80년 광주'..자유를 허하라"

2009. 3. 10. 18: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자유, 자유, 자유! 티베트인을 죽이지 말라"

한국 망명 스님 등, 중국대사관 앞 항의 회견

시민단체도 동참…'사랑의 장미'도 거부당해

긴 겨울이 끝나고 봄으로 들어서는 길목.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티베트인들이 중국대사관 앞에 모여 외친 호소는 '자유'였다. 그렇게 세 번 '자유'를 외치는 동안 중국 대사관은 철문을 굳게 닫은 채 아무 응답을 하지 않았다. 이어 티베트인들은 "피스 인 티베트", "티베트에 자유를"이라는 구호를 외쳤다. 그러나 뒤이은 구호 역시 대사관 벽 앞에 조용히 내려앉을 뿐이었다. 그렇게 티베트인들의 자유를 위한 평화 행동은 소박하게 끝났다.

10일 오전 '티베트 민중봉기 50주년'을 기념해 국내 거주 티베트인들이 서울 종로구 효자동 중국 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티베트 무장봉기 50주년 기념일과 라싸 독립시위 1주년이 겹치면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열린 이날 기자회견에는 티베트 남카(40)스님을 비롯한 티베트 망명인 여섯 명과 10여 명의 국내 시민단체 회원들이 함께 참석했다. 이들 손에는 'Shame on China'(부끄러운 중국 정부), 'Free Tibet'(티베트에 자유를) 이라고 적힌 손팻말이 들렸고 일부는 설산 사자기 문양의 티베트 상징 깃발을 들었다. 이들은 중국 정부에 "더 이상 티베트인들을 죽이지 말라"며 "티베트 무단 점령을 민주화로 오도하는 '티베트 민주화 50주년 백서' 제작 작업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발언에 나선 남카 스님은 "1959년 3월10일 티베트에서 민중봉기가 발생한 지 50년이 지났는데 아직도 저항이 계속되고 있다"며 "한국 사람들을 비롯한 전 세계 사람들이 티베트인들을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이어서 발언한 티베트 망명인 제임스(33)는 중국 정부에 화해의 메시지를 전했다. 그는 "내 이웃과 친구들이 50년 동안 고통받고 있지만 중국을 미워하지 않는다"며 "앞으로도 미워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의 왼손에는 중국 대사관 쪽에 전달할 작은 꽃다발이 들려 있었다.

티베트 독립을 지지하는 국내 시민단체들도 연대 발언을 통해 "중국 정부의 티베트 무단 점유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김덕엽 <다함께> 활동가는 "저격수가 배치된 티베트를 보면 80년대 광주가 떠오른다"며 "'봉건사회로부터 티베트를 해방하려고 중국 정부가 나선 것'이라는 설명은 제국주의 국가들이 약소국을 침공할 때 사용하는 변명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기자회견이 끝난 뒤 티베트인들은 중국 대사관에 장미 꽃다발을 전해주러 5m가량 떨어진 대사관 정문을 향했다. 그러나 경찰의 제지로 꽃다발은 전해주지 못했다. 종로경찰서 관계자는 "중국 대사관 쪽에서 꽃다발을 받지 않겠다고 했다"며 "이만 돌아가라"고 말했다. 무릎을 꿇고 꽃다발을 손에 든 채 10여 분 간 대사관 정문 앞에 앉아있던 제임스는 "중국이 우리의 사랑마저도 거부하는 것 같아 아쉽다"고 말한 뒤 조용히 자리를 떠났다.

한편, 티베트의 자유를 지지하는 단체 '랑쩬'(RANGZEN 자유)회원들은 9일 "중국대사관이 한국 내에서의 티베트 관련 시위마저 못하게 막는다"며 비판하기도 했다. 이 단체 활동가 이병구(28)씨는 "중국 문화원 앞에서 합법적인 '티베트 학살 규탄 집회'를 열고 있었는데 중국 대사관 쪽이 경찰에 항의해 집회를 제지당했다"며 "대사관도 아닌 문화원 앞에서 열리는 한국인들의 시위마저 못하게 하는 중국대사관의 행동은 지나친 내정 간섭"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종로경찰서 정보계 관계자는 "집회 허가를 내준 것은 맞지만 중국 대사관 쪽이 워낙 강력하게 항의해 어쩔 수 없었다"고 밝혔다.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티베트 망명인들은 약 20여 명에 이른다. 이들은 앞으로도 "한국의 티베트 독립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함께 중국 정부의 티베트인 학살 중단을 요구하는 활동을 벌여가겠다"고 밝혔다. 시민단체 회원과 티베트인 등 100여명은 10일 저녁 7시부터 서울 보신각 앞에서 촛불문화제를 열었다.

아래는 기자회견에 참여한 남카 스님과의 짧은 인터뷰 전문이다.

허재현 기자 catalunia@hani.co.kr

"티베트 고유 문화와 종교를 지키고 싶다" -남카 스님 인터뷰-

-오늘 여기 왜 참석했나?

=랑쩬과 같은 티벳을 지지하는 한국 시민 단체들이 오늘 여기서 기자회견을 한다고 해서 티베트의 상황을 알리기 위해 왔다.

-당신은 티베트인인가

=그렇다. 부모가 티베트에서 살다 달라이 라마와 함께 인도 다람살라로 망명했다.

-한국에는 어떻게 온 것인가

=2004년도에 티베트 불교를 알리려고 왔다.

-티베트 승려들과 주민들이 희생을 당하고 있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이번이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 1945년 중국이 티베트를 침공한 이래 계속 일어났던 일이다. 1959년부터 지금까지 120만 명이 죽었다. 미래에도 마찬가지일 거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한다고 보는가?

=달라이라마가 말한대로 중국 정부는 평화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100년, 200년이 지나도 이런 (유혈) 사고가 일어날 것이다.

-티베트 독립을 원하는 것인가

=(개인적으로) 독립국가를 원하는 것도 아니고 중국 정부에 반대할 생각도 없다.

-그럼 무엇을 바라는 것인가

=티베트에는 고유의 문화가 있다. 티베트는 독립국가였기 때문에 고유의 불교문화, 언어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중국어 사용을 강요당하고 있다. 티베트의 문화와 종교를 지키고 싶다.  

▶관련 기사 "티베트에 자유를" '봉기 50돌' 중국서 시위 본격화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한겨레> [ 한겨레신문 구독| 한겨레21 구독]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