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통일비용 한국 GDP의 24%"<獨연구소>
할레 연구소 "한국 감당할 수 없는 수준"
"한국 대규모 인플레이션도 대비해야"
(베를린=연합뉴스) 박창욱 특파원 = 북한의 갑작스러운 붕괴 등으로 남북한 통일이 이뤄지면 통일 비용으로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24%가 필요하다는 독일 경제연구소의 진단이 나왔다.
독일 할레 경제연구소 울리히 블룸 소장은 31일(현지시간) 독일 일간지 빌트 기고문을 통해 "북한의 뒤처진 경제력 때문에 한국은 통일 기금을 조성한다고 해도 통일 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며 이 같이 전망했다.
블룸 소장은 통일 비용 추산 근거로 1990년 독일 통일 당시 옛 서독 국내총생산의 6%가 옛 동독 지역에 투입됐다는 점을 제시했다.
당시 동독은 서독에 비해 인구 규모와 1인당 국내총생산이 각각 20% 수준이었지만, 현재 한국 대비 북한의 인구 규모는 40%인 반면 1인당 국내총생산은 5%에 불과하다는 것이 블룸 소장의 설명이다.
그는 옛 동독과 마찬가지로 북한에서 한국으로 대규모 주민 이탈이 일어날 수 있다면서 그러나 한국은 이를 흡수할 수 있는 형편이 아니라고 평가했다.
블룸 소장은 한국은 통일에 대비해야 한다면서 북한의 협조 없이는 어렵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이 일종의 인큐베이터 전략인 경제특구 전략으로 북한에 진출할수 있지만 오늘날 개성공단이 보여주 듯 근본적인 제도의 변화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블룸 소장은 통일 과정에서 독일이 경험한 것 처럼 한국에서도 대규모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할 것을 주문했다.
그는 "북한을 위한 대규모 재건원조는 한국내 물가상승을 초래할 것이며 한국의 무역흑자를 상당 부분 줄어들게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블룸 소장은 북한이 주로 군시설 분야에서 보유한 연구혁신 환경은 동독 재건과정에서 볼 수 있던 것처럼 장기 번영을 위한 관점에서 유지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북한의 체제변경이 1990년대 이후 중국과 베트남과 같은 `탈공산주의'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있다며, 이러한 희망이 지난 20년간 바깥세상이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알지 못하는 북한 내부에 전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pcw@yna.co.kr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때아닌 눈인데 색깔도 낯설다?…수도권서 '검은 눈' 목격담 | 연합뉴스
- [르포] 최초 발화지 다시 가보니…버려진 라이터·그을린 흔적 | 연합뉴스
- "사랑해요" 사고 전날이 마지막…헬기 순직 조종사 아내 오열 | 연합뉴스
- [샷!] "불 번지는데 '17년지기' 혼자 둬 너무 불안" | 연합뉴스
- "내 딸 때렸어?" 아동 세워놓고 추궁한 30대…학대죄 될까 | 연합뉴스
- '종교 전도 받아 집 드나든 건데…' 스토커 몰린 60대 무죄 | 연합뉴스
- 아시아나 필리핀발 인천행, 기장이 여권 잃어버려 15시간 지연 | 연합뉴스
- 김동연, 文소환 통보에 "기가 찰 노릇…검찰, 누구에 충성하나" | 연합뉴스
- "산불감시원 퇴근 시간 다 알아"…대형산불에도 불법 소각 여전 | 연합뉴스
- 건물잔해서 "살려줘요"·임산부 길거리 출산…미얀마 아비규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