前주한미군 "한국민, 고엽제 사태에 분노해야"
70년대말 DMZ 근무한 美참전용사단체 대변인
인터넷 등 통해 고엽제 피해자 증거사례 수집
(리치랜드힐스 < 미국 텍사스주 > =연합뉴스) 이승관 특파원 = "한국 국민은 당연히 고엽제 사태에 분노해야 한다."
미국의 참전용사단체 `용사를 돕는 용사회(Vets Helping Vets)'의 데이비드 애퍼슨(51) 대변인은 최근 고엽제 문제가 논란이 되자 과거 주한미군으로 활동했던 퇴역군인 가운데 고엽제 피해자들의 증언과 증거 사례를 모으는 운동을 벌이는 한편 인터넷 홈페이지를 만들어 주도적으로 이를 이슈화하고 있는 인물이다.
1977년부터 약 1년간 비무장지대(DMZ) 등 한국에서 야간 수색병, 헌병 등으로 활동한 애퍼슨씨는 25일 텍사스주 댈러스 인근의 리치랜드힐스에 위치한 자신의 집에서 가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주한 미군기지 고엽제 매립과 관련한 파문에 대해 "이런 비극적인 일은 없었어야 했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애퍼슨씨는 자신이 17살에 불과했던 DMZ 근무 당시 `에이전트 오렌지(Agent Orange)'를 비롯한 각종 고엽제에 노출돼 신경질환, 두통,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시력저하, 위장장애, 말초신경장애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주한미군 복무기간에 얻은 각종 질환으로 한때 한달에 무려 2천알의 약을 복용했다는 그는 "당시에는 고엽제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지만 보훈처에 관련 보상을 신청하는 과정에서 검사를 받은 뒤 내가 가진 질환이 이로 인한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당시 주한미군이 화학물질을 많이 다루고 있었다는 것을 알았고 당시 엄청난 숫자의 드럼통이 있는 것을 봤지만 기름이라고 생각했다"면서 "지금도 그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모른다"고 설명했다.
애퍼슨씨는 그러면서 "한국에서 고엽제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미국에선 큰 관심을 모으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며 "한국 국민과 마찬가지로 미국 국민도 화를 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고엽제를 매립한 군인들에게 무슨 잘못이 있겠는가. 그들은 명령에 따랐을 뿐"이라면서 "명령을 내린 윗선에 책임이 있고, 우리는 그들에게 분노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애퍼슨씨는 경북 칠곡 `캠프 캐럴'에 고엽제를 매립했다고 폭로한 전 주한미군 스티브 하우스씨에 언급, "그가 이같은 사실을 뒤늦게 밝힌 것은 죽어가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면서 "많은 주한미군들이 비슷한 경험을 갖고 있지만 이들은 명확한 증거가 없고, 미국 언론에서 관심을 가져주지 않아 침묵을 지키고 있었을 뿐"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자신의 집에서 고엽제 피해를 당한 주한미군 출신 참전용사들의 모임을 주선하겠다는 그는 앞으로 미 전역의 `전우'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이 문제를 제기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humane@yna.co.kr
<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 포토 매거진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고엽제묻은 美軍 "부대근처에 江있는 줄도 몰랐다"
- 교회협, '고엽제 의혹' 오바마에 공개서한(종합)
- '고엽제 매립' 결정적 제보자 확보 못해(종합)
- "70년대 DMZ 고엽제 살포에 민간인 동원"
- 前미군 "1977~78년 다이옥신 전량폐기 명령 하달"
- "고사리철엔 조심"…제주서 고사리 캐던 50대 뱀에 물려 병원행 | 연합뉴스
- 57년 전 "무장공비 왔다" 신고한 나무꾼, 故 김신조 마지막 배웅 | 연합뉴스
- 배우 손담비 득녀…"산모와 아이 모두 건강" | 연합뉴스
- 尹 서초 사저 복귀 첫날…지지자 고성에 주민 "나가라" | 연합뉴스
- 호주서 시험관시술 실수로 배아 바뀌어 남의 아기 출산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