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간에 만연한 미성년자 성 학대 풍조..미군 방관 논란

2015. 9. 21. 10:2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이윤영 기자 =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이 아프간 군 등에 만연한 미성년자 성 학대 풍조를 묵인하라는 지침을 내려 논란이 일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프간에서 군벌 출신 등 권력자들이 행하는 남색, 즉 소년을 성적 노리개로 삼는 행위는 국제사회에서 끊임없이 지탄을 받았지만, 없어지지 않는 일종의 관습이다.

현지어로 '바차 바지'(bacha bazi), 영어로 하면 '보이 플레이'(boy play)라 불리는 이 행위는 아프간에서 권력자의 위상을 과시하는 상징처럼 여겨져 왔는데, 이것이 아프간 주둔 미군 기지 내에서 새로운 갈등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 2012년에는 기지에서 아프간 경찰대장과 함께 생활하던 소년 중 한 명이 총격 사건을 일으켜 미군 3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당시 사망한 그레고리 버클리 해병 일병의 아버지는 NYT와의 인터뷰에서 "아들은 밤마다 아프간 경찰들로부터 성적 학대를 당하는 소년들의 비명이 들려 괴롭지만, 할 수 있는 게 아무 것도 없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총격 사건이 이러한 남색 행위에 연관돼 발생한 것이 분명하다면서 "장교들은 아들에게 "그건 아프간의 문화이니 나쁘게만 보지 말라'는 식으로까지 얘기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왜 아들이 이러한 터무니없는 총격 사건의 희생자가 된 것인지 알아내고자 미군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군 기지에서 벌어지는 이런 야만적 행위에 참다 못해 군을 떠나는 장병들도 있다.

아프간에서 특수부대 대위였던 댄 퀸이 그런 경우다. 그는 침대에 소년을 묶어놓은 채 성노예처럼 부리는 동료 아프간 민병대 지휘관을 때려 눕혔다가 징계를 받고 군을 떠났다.

퀸은 "우리가 아프간에 간 이유는 탈레반이 주민들의 인권을 짓밟는 몹쓸 짓을 했다고 들어서였는데, 오히려 탈레반보다 더 못된 짓을 하는 사람들을 우리가 권력에 앉히고 있었다"며 미군의 방조적인 태도를 비판했다.

NYT는 미군의 이러한 '불개입' 정책은 아프간 경찰, 미국이 훈련시키고 있는 민병대 부대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심지어 일부 미군 장병들은 이러한 군 정책에 동조하는 입장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미군 주둔의 큰 목적은 탈레반을 격퇴하기 위함이지 지역 사회의 불합리한 관습과 싸우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아프간 주둔 미군부대 대변인도 "일반적으로 아프간 군경의 개인적인 아동 성학대 의혹은 아프간 형법에 따라 다뤄질 문제"라고 답했다고 NYT는 덧붙였다.

yy@yna.co.kr

☞ 환각상태서 이별통보 여친 엉덩이에 몰래 필로폰 주사
☞ 방송인 정형돈 폐렴으로 입원…"이번주 스케줄 취소"
☞ "시험관에서 인간 정자 만들었다"
☞ 손흥민 "동료들이 자기가 넣은 것처럼 축하해줘"
☞ 추석에 음복하고 운전했다가 수백만원 벌금·징역형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