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왕위계승권자가 갑자기 바뀐 까닭은?
장은교 기자 2015. 4. 29. 12:48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이 29일(현지시간) 왕세제를 전격 교체했다.
살만 국왕은 이날 칙령을 내려 무크린 왕세제 대신 무함마드 빈 나예프 내무장관(55)을 차기 왕위계승자로 책봉했다. 무함마드가 내정돼 있던 계승서열 2위 왕세자로는 살만 자신의 아들인 무함마드 현 국방장관을 임명했다. 새 왕세자 무함마드 내무장관은 왕실 내 실력자였던 고 나예프 왕자의 아들이자, 살만 국왕의 조카다. 나예프는 왕세제 시절 사망해 그 동생인 살만이 왕위를 이었다.
|
29일 차기 왕위계승자로 전격 책봉된 무함마드 빈 나예프 /AP연합뉴스 |
지난 1월 23일 왕좌에 오른 살만 국왕은 전임 국왕인 압둘라와 어머니가 다르다. 살만은 사우디 왕가 최대 실세인'수다아리 세븐(수다이리 가문 출신 왕비의 일곱 아들)' 중 한 명이다. 새 왕세자 무함마드의 아버지 역시 수다이리 세븐 중 한 명이다. 이로써 압둘라 전임 국왕 시절 잠시 일선에서 물러난 듯했던 수다이리 파가 다시 전면에 부상하게 됐다.
이번 왕세자 지명은 또한 건국자 압둘 아지즈(이븐 사우드)의 아들 세대에서, 3세대로 왕위를 물려주기로 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알자지라는 "형제계승을 해온 사우디아라비아 왕실이 손자 세대 후계자를 책봉한 것은 처음"이라며 "사우디 정계의 큰 지각변동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장은교 기자 indi@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신문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이복현 사의 표명…“상법 개정안 거부권, 윤 대통령 있었다면 행사 안 했을 것”
- 수원 인계동 오피스텔 인근서 2명 숨진 채 발견
- [스팟+터뷰] 박범계 “헌재 선고일 지정은 ‘이견 해소’…윤석열 복귀해도 국민이 끌어낸다”
- 주한미군 “한국 계엄령 안 따라”···개인 SNS 글에 “거짓” 일일이 지적
- 국힘 김미애, 장제원 겨냥 “누구든 돈과 권력으로 범죄 저질러선 안돼”
- ‘1호 헌법연구관’의 확신 “윤석열, 만장일치 파면…기각 땐 군사 독재 시대로”
- 탄핵 선고 앞두고…윤 대통령·신평·전한길 등 책 출간 “계엄으로 ‘진보귀족’에 저항”
- 장제원 사망에 여당 “마음 아파” “명예훼손 말라”…피해자 언급은 없어
- “붕괴 이전으로 돌아가요”…박해일 등 영화인 1025명 ‘윤석열 파면’ 성명
- 미, 한국시간 3일 오전 5시 상호관세 발표···“즉시 발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