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트레이디가 사랑한 남자, 제이슨 우(Jason Wu)

2013. 2. 5. 07:3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권도경 기자] 모든 디자이너들은 그녀가 자신의 옷을 단 한번만이라도 입어주기를 꿈꾼다. 그녀가 등장할 때마다 과연 어떤 옷을 입을지 세계의 시선은 집중된다. 그리고 그녀가 나타나는 순간 적어도 한명의 인생은 뒤바뀐다. 바로 그 옷을 만든 디자이너다.

지난 1월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컨벤션센터, 남편의 2기 취임식 기념무도회에 빨간 벨벳드레스를 입고 나타난 미셸 오바마. 팝가수 제니퍼 허드슨이 부르는 노래에 맞춰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춤을 추는 그녀의 모습은 마치 동화 속 한 장면 같았다.

이날 미셸 못지 않게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것은 그녀의 드레스. 미셸이 선택한 드레스는 대만 출신 디자이너 제이슨 우(Jason Wu·30)의 작품이었다. 미셸은 2009년 첫 취임식 무도회때 입었던 디자이너의 옷을 연이어 선택했다. 제이슨 우는 일생일대의 영광으로 꼽을만한 퍼스트레이디의 선택을 한번도 아닌 두번 받았다. 초선과 재선 취임무도회에서 영부인이 한 디자이너의 옷을 입은 것은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부인 낸시 여사 이후 처음이었다. 무도회 드레스가 공개되자마자 몇분만에 제이슨 우의 홈페이지는 다운됐다.

검은 재클린의 선택은 신예=지난 2009년 1월 20일 오바마 대통령 취임식 무도회장, 미셸이 모습을 드러내자 언론의 찬사가 쏟아졌다. 마지막까지 비밀에 부쳐졌던 무도회 드레스는 그녀를 단숨에 패션 아이콘으로 떠오르게 했다. 패션계는 중앙무대에 데뷔하는 미셸이 오스카 드 라렌타, 랄프 로렌 , 캐롤리나 헤레나 등 미국 상류층을 상징하는 디자이너의 옷을 안전하게 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미셸의 선택은 신예디자이너의 옷이었다.

제이슨 우가 이날 무도회 드레스로 미셸에게 선사한 것은 우아한 파격이었다. 이날 미셸은 보통 영부인들이 공식석상에서 긴팔 정장을 모범답안을 입는 원칙을 뒤집었다. 한쪽 어깨가 드러난 변형된 민소매 디자인의 아이보리색 시폰 드레스는 신선한 파격을 던졌다. 외신은 미국 패션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고 극찬했다.

1m80의 장신에 팔등신인 미셸은 신예디자이너들을 통해 '퍼스트레이디 룩'의 고정관념을 깼다. 미셸은 영부인이지만 고가 브랜드만 고수하지 않는다. 그녀는 저가 브랜드와 신예디자이너들의 옷, 기성복을 적절히 섞을 줄 아는 현대적인 취향을 가지고 있다.

2009년 봄 보그지에 제이슨 우가 디자인한 자홍색 민소매 원피스를 입고 근육질의 팔을 드러낸 미셸은 단연 도발적이었다. 민소매 원피스 차림으로 남편의 의회 연설에 등장한 모습에서는 그녀의 자신감을 느낄 수 있다. 디자인, 옷감, 색깔 등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연출해 대담한 액세서리로 마무리하는 영부인은 '검은 재클린'을 별명을 얻었다. '완판녀' 미셸 패션의 경제적 가치는 50억달러가 넘는다는 분석도 있다.

2기 취임식 드레스에서 제이슨 우는 지난 4년간 보여줬던 미셸의 장점을 극대화했다. 미셸이 이날 입은 붉은 루비색 드레스는 등은 깊게 패였고, 홀터넥 디자인으로 유명한 그녀의 팔 근육을 시원하게 드러냈다. 취임식 무도회에서 입은 제이슨 우의 드레스는 관례대로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에 기증된다.

▶자고나니 벼락스타

=제이슨 우가 26살 젊은 나이에 미셸의 첫 선택을 받았다. 당시 그는 미셸이 자신의 드레스를 입을 것에 대해 젼혀 몰랐다고 한다. 무명에 가까웠던 그는 단숨에 유명 디자이너 반열에 올랐다.

타이베이(臺北)에서 무역사업을 한 부모를 둔 제이슨 우는 어린 시절부터 남달랐다. 5살 때부터 종종 웨딩숍 쇼윈도에 전시된 드레스를 스케치했다. 9살때 부모를 따라 캐나다 밴쿠버로 이민을 떠나 이때부터 바느질로 인형의 옷을 만들기 시작했다.

14살에 일본 도쿄에서 조소를 공부했으며, 고등학교 마지막 해를 파리에서 보내면서 패션 디자이너가 되기로 결심했다. 이후 뉴욕의 파슨스 뉴스쿨에서 패션 디자인을 전공하고 나르시소 로드리게즈 아래에서 인턴 과정을 거쳤다.

2006년 2월 그는 뉴욕에서 자기 이름으로 된 브랜드를 처음 출시했다. 그러나 2009년 미셸이 그의 드레스를 택하기 전까지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는 아메리칸드림의 표상으로 떠올랐고, 뉴욕 패션가에 알렉산더왕, 필립림,데렉 람, 프라발 구룽 등과 함께 아시아계 디자이너 열풍을 불러왔다. 미셸은 그의 인생을 바꿔놓았고, 제이슨 우는 미셸에게 '패션뮤즈'란 날개를 달아줬다.

권도경 기자/kong@heraldcorp.com

- 헤럴드 생생뉴스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