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카터, 명동사건 직후 'DJ 석방' 신경전"
美조지워싱턴대 국무부 기밀해제 외교문서 공개
박정희, 카터 요청 거부…7개월뒤 DJ 병원行
(워싱턴=연합뉴스) 이승관 특파원 = 이른바 '명동사건' 이듬해인 지난 1977년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이 김대중(DJ) 전 대통령 등 재야인사들의 처리 문제를 놓고 치열한 물밑 신경전을 벌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3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워싱턴대 부설 국가안보문서관리소가 최근 공개한 기밀 해제 문건에 따르면 지난 1977년 5월 26일 필립 하비브 당시 국무차관과 리처드 스나이더 주한 미국대사는 카터 대통령의 지시로 박 대통령을 접견하고 주한미군 철수 문제 등을 논의했다.
하비브 차관은 이 자리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한국의 인권문제를 연계하지 않는다는 미국 정부의 방침을 확인한 뒤 한국의 안보 문제와 관련해서는 독단적 결정을 내리지 않는 것은 물론 철군과 관련해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카터 대통령의 뜻을 전했다.
그러나 미국 의회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후속 지원방안 등에 대한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면서 박 대통령에게 인권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우회적으로 당부했다.
대신 한국의 인권 문제에 대해 공론화하지 않는 것은 물론 박 대통령과의 접견 내용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한국 정부의 입장을 고려해 명동사건을 공개적으로 문제삼지 않되 체포된 재야 지도자들의 석방을 외교채널을 통해 압박한 셈이다.
이에 대해 박 대통령은 명동사건이 인권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거듭 강조한 뒤 "명동사건의 용의자들은 헌법과 현행법을 위반했으므로 적법한 절차에 의해 재판을 받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특히 미국의 압박으로 이들에 대해 관용을 베풀 경우 이들이 다시 법을 어길 수 있고 추가 체포 사태가 가능하다며 난색을 보였다.
다만 명동사건 용의자들에 대한 관대한 처분이 카터 대통령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을 충분히 이해한다면서 일정기간이 지나 상황이 잠잠해지면 모종의 조치를 취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카터 대통령에게 한국의 인권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하지 말라는 당부를 하비브 차관을 통해 전했다.
이같은 내용의 접견 내용은 스나이더 대사가 이튿날 국무부에 보낸 기밀 외교전문에 포함됐다.
'3·1 민주구국선언사건'으로도 불리는 명동사건은 1976년 3월 1일 명동성당에서 개최된 3·1절 기념미사를 빌미로 정부가 재야 지도자들을 대거 구속한 사건으로, 당시 김대중 전 대통령을 비롯해 함석헌, 문익환, 함세웅 등 유신체제에 반대한 재야인사들이 기소돼 국제사회에서도 이슈가 됐다.
하비브 당시 차관이 박 전 대통령을 접견한 뒤 약 7개월만인 같은해 12월 18일 김 전 대통령은 전주교도소에서 서울대병원으로 옮겨졌으며, 이듬해 연말 특별사면으로 석방됐다.
국가안보문서관리소는 보고서에서 "당시 카터 행정부의 핵심 동아시아 정책 가운데 하나는 주한미군 철수였다"면서 "직접적으로 이와 연계하진 않았지만 군부독재에 의한 인권침해도 이슈였고, 박 전 대통령은 투옥한 재야인사들의 석방을 용납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humane@yna.co.kr
- ☞ '살인교사 의혹' 박경실 파고다어학원 대표 경찰 출석
- ☞ '황제노역' 허재호 전회장 부인 한강서 만취 소동(종합)
- ☞ 연애하고 싶은 영웅은 '아이언맨', 결혼상대는 '배트맨'
- ☞ 韓美 전작권전환 재연기 가닥…"적절 전환시기 협의"
- ☞ "北 신형 스마트폰 '평양타치' 인기…분홍색도 있어"
▶이슈에 투표하고 토론하기 '궁금한배틀Y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사랑해요" 사고 전날이 마지막…헬기 순직 조종사 아내 오열 | 연합뉴스
- [샷!] "불 번지는데 '17년지기' 혼자 둬 너무 불안" | 연합뉴스
- "내 딸 때렸어?" 아동 세워놓고 추궁한 30대…학대죄 될까 | 연합뉴스
- '종교 전도 받아 집 드나든 건데…' 스토커 몰린 60대 무죄 | 연합뉴스
- 아시아나 필리핀발 인천행, 기장이 여권 잃어버려 15시간 지연 | 연합뉴스
- 김동연, 文소환 통보에 "기가 찰 노릇…검찰, 누구에 충성하나" | 연합뉴스
- "산불감시원 퇴근 시간 다 알아"…대형산불에도 불법 소각 여전 | 연합뉴스
- 건물잔해서 "살려줘요"·임산부 길거리 출산…미얀마 아비규환 | 연합뉴스
- "기부 안하나요"·DM 발송도…유명인에 산불 피해지원 강요 논란 | 연합뉴스
- 도로 중앙 걷던 30대 여성, 트럭에 치여 숨져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