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당 극적 양보.. 미국 디폴트 위기 탈출

이성원기자 2014. 2. 12. 21: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가부채 상환 대출 권한 1년 연장법 하원서 통과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하락까지 불렀던 국가부채 상한 증액 문제가 이를 버락 오바마 정부를 압박할 정치 호재로 삼던 공화당 일부 의원들의 양보로 가까스로 해결됐다. 17일까지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미국은 국가부도가 날 상황이었다.

미국 연방 하원은 11일 전체회의를 열어 2015년 3월 15일까지 국가부채 상환을 위한 대출 권한을 재무부에 계속 부여하는 내용의 법안을 표결해, 찬성 221표와 반대 201표의 근소한 차이로 가결 처리했다. 상원도 12일부터 이 법안에 대한 심의를 시작할 예정이지만 민주당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무난한 통과가 예상된다.

국가부채 상한 증액안이 상·하원을 모두 통과하면 오바마 정부는 국가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를 모면할 수 있게 된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오늘밤의 표결은 경제에 불필요한 장애물이었던 정치적인 벼랑 끝 정책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긍정적인 걸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뉴햄프셔주 조슈아의 항공교통관제센터 개명 법안에 첨부하는 형식으로 급하게 상정된 이 증액안에는 민주당 의원 193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공화당 의원 가운데는 28명만 찬성했다. 찬성표를 던진 28명의 공화당 의원은 당 지도부와 온건파 의원들이다.

표결에 앞서 공화당 소속 존 베이너 하원의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법안을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공화당 하원의원들이 전날과 이날 잇따라 비공개회의를 갖고 부채상한 증액 내용만 포함한 이른바 '클린 빌(clean bill)'을 하원 전체회의에 상정한다는 방침을 세운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이번 표결로 베이너는 당내의 비난 여론에 직면했다. 티파티 애국자 모임을 만든 제니 베스 마틴은 "부채 상한 청산은 베이너측의 완전한 항복"이라며 "그는 하원을 이끌 능력을 상실했다" 고 혹평했다.

전문가들은 이날 법안 통과에 대해 당초 국가부채 상한 증액을 복지예산 등 연방정부 지출 삭감이나 키스톤XL 송유관 건설 사업 승인 등과 연계하려던 공화당의 전략이 실패로 돌아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성원기자 sungwon@hk.co.kr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