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뒤통수친 호주.. "과거로 日평가 말아야"
토니 애벗 호주 총리가 8일 과거사 왜곡 문제로 국제적 비판을 받고 있는 일본에 대해 "일본은 70년 전의 행동이 아니라 지금의 행동으로 평가받아야 한다"며 일방적으로 두둔하는 발언을 해 논란이 일고 있다.
애벗 총리는 이날 호주 캔버라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진 후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에 공정한 평가를 해달라"고 강조한 뒤 "일본은 모범적인, 일등 세계 시민"이라고 칭찬까지 했다.
애벗 총리는 한국과 중국의 반발을 일으킨 아베 정부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 결정도 적극적으로 환영했다. 애벗 총리는 "2차 세계대전 당시의 일본과 지금의 일본은 완전히 다르다"면서 "일본이 '보통국가(normal country)'로서 전면적으로 참여하게 된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가 주장하고 있는 전후 체제 탈피, 보통국가론을 그대로 답습한 발언이다.
일본 언론들은 일본과 호주의 관계를 '밀월관계'로 표현하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발휘하기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산케이(産經)신문은 "미국과 일본, 호주 3개국은 자유와 민주주의 등 공통의 가치관을 가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선진국"이라면서 "모두 중국의 해양 진출에 대해 우려를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지(時事)통신은 "애벗 총리는 중국 등으로부터 '우경화' 비판을 받고 있는 아베 총리를 배려했다"며 "미국을 포함한 '스크럼'을 강화해 중국을 견제하려는 아베 총리의 외교 방침이 한층 선명해졌다"고 전했다.
그러나 호주 안팎에서는 애벗 총리의 행보가 호주와 중국의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호주 야당 노동당의 샘 다스티아리 의원은 현지 언론 스카이뉴스 인터뷰에서 "중국 관련 분쟁에서 우리가 어느 한 쪽의 편을 드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면서 "현 정부는 한 쪽 편을 들고 있다는 인상을 점점 강하게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도 "(일·호 양국의) 관계 발전은 호주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긴장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호주는 미국과 가까운 동맹국이고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찬성하는 입장"이라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그는 이어 "한국과 중국이 호주의 주요 교역 상대국인 만큼, 호주가 일본에 '올인'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김하나 기자 hana@munhwa.com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