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학자들, <제국의 위안부> 놓고 격론..찬반 교차

도쿄|윤희일 특파원 2016. 3. 28. 19:0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일본에서 활동하는 학자 10여명이 28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박유하 세종대 교수의 책 <제국의 위안부>를 놓고 격론을 벌였다.

이날 일본 도쿄(東京)도 도쿄대 고마바(駒場)캠퍼스에서 열린 토론회에서는 <제국의 위안부>가 ‘일본군의 책임은 과소화하고 전후 일본의 반성은 과대 평가했다’는 부정적 평가와 ‘한·일 관계의 악순환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고민하고 있다’는 긍정적 평가가 교차했다.

세종대 박유하 교수의 저서 <제국의 위안부>. 윤희일 특파원

일본의 위안부 분야 연구를 이끌어온 요시미 요시아키(吉見義明) 주오(中央)대 교수는 이 책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요시미 교수는 일본군 위안부와 일본 병사의 관계를 ‘동지적 관계’로 본 부분에 대해 “위안부 여성들이 절망적 상황 속에서 얼마나 살아남고 싶었는가에 대한 시선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살아남기 위해 특정한 병사의 비호를 원한 경우가 있었는데 그걸 두고 위안부와 병사가 동지적 관계였다고 하는 것에는 매우 큰 오류가 있다”고 지적했다.

요시미 교수는 책에 인용한 피해자 증언에 문제가 있다고 비판하면서 연구서로서 실격이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오노자와 아카네(小野澤あかね) 릿쿄(立敎)대 교수는 “책의 문제점은 ‘애국’, ‘자긍심’ 등 조선인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에서 나온 말들을 문맥을 무시한채 자의적으로 기록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영환 메이지가쿠인(明治學院)대학 준교수는 “일본군의 책임은 과소화하고 전후 일본의 반성은 과대 평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 일본어판

니시 마사히코(西成彦) 리쓰메이칸(立命館)대 교수 등은 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제국의 위안부>가 위안부 피해자들과 일본군의 관계를 ‘동지적 관계’로 평가한에 대해 “일·한 대립의 패러다임을 넘어 전쟁 수행의 협력자 역할을 강요당한 남녀 모두 피해자였을지 모른다는 새로운 인식의 가능성을 시야에 넣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을 내놨다. 그는 “이 책을 단서로 해서 전향적으로 논의할 것이 많이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기미야 다다시(木宮正史) 도쿄대 교수는 “위안부 문제로 인해 일·한관계가 악화했는데 그 악순환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저자가 생각한 것 같다”고 평가하면서 “박 교수의 문제제기는 일본 사회에서 어느 정도 유효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기미야 교수는 “(군위안부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는데 대해) 일본만 탓할 것이 아니라 한국도 다가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듯 하다”고 해석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한국 검찰이 박 교수를 기소한데 대한 비판 의견도 제시됐다. 아사노 도요미(淺野豊美) 와세다(早稻田)대 교수는 “학문의 자유가 걸린 문제가 재판정에 오른다고 하면 사회의 진화·발전이 멈춘다”는 의견을 냈다.

<도쿄|윤희일 특파원 yhi@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