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학자들, <제국의 위안부> 놓고 격론..찬반 교차
[경향신문] 일본에서 활동하는 학자 10여명이 28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박유하 세종대 교수의 책 <제국의 위안부>를 놓고 격론을 벌였다.
이날 일본 도쿄(東京)도 도쿄대 고마바(駒場)캠퍼스에서 열린 토론회에서는 <제국의 위안부>가 ‘일본군의 책임은 과소화하고 전후 일본의 반성은 과대 평가했다’는 부정적 평가와 ‘한·일 관계의 악순환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고민하고 있다’는 긍정적 평가가 교차했다.
일본의 위안부 분야 연구를 이끌어온 요시미 요시아키(吉見義明) 주오(中央)대 교수는 이 책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요시미 교수는 일본군 위안부와 일본 병사의 관계를 ‘동지적 관계’로 본 부분에 대해 “위안부 여성들이 절망적 상황 속에서 얼마나 살아남고 싶었는가에 대한 시선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살아남기 위해 특정한 병사의 비호를 원한 경우가 있었는데 그걸 두고 위안부와 병사가 동지적 관계였다고 하는 것에는 매우 큰 오류가 있다”고 지적했다.
요시미 교수는 책에 인용한 피해자 증언에 문제가 있다고 비판하면서 연구서로서 실격이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오노자와 아카네(小野澤あかね) 릿쿄(立敎)대 교수는 “책의 문제점은 ‘애국’, ‘자긍심’ 등 조선인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에서 나온 말들을 문맥을 무시한채 자의적으로 기록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영환 메이지가쿠인(明治學院)대학 준교수는 “일본군의 책임은 과소화하고 전후 일본의 반성은 과대 평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니시 마사히코(西成彦) 리쓰메이칸(立命館)대 교수 등은 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제국의 위안부>가 위안부 피해자들과 일본군의 관계를 ‘동지적 관계’로 평가한에 대해 “일·한 대립의 패러다임을 넘어 전쟁 수행의 협력자 역할을 강요당한 남녀 모두 피해자였을지 모른다는 새로운 인식의 가능성을 시야에 넣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을 내놨다. 그는 “이 책을 단서로 해서 전향적으로 논의할 것이 많이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기미야 다다시(木宮正史) 도쿄대 교수는 “위안부 문제로 인해 일·한관계가 악화했는데 그 악순환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저자가 생각한 것 같다”고 평가하면서 “박 교수의 문제제기는 일본 사회에서 어느 정도 유효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기미야 교수는 “(군위안부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는데 대해) 일본만 탓할 것이 아니라 한국도 다가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듯 하다”고 해석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한국 검찰이 박 교수를 기소한데 대한 비판 의견도 제시됐다. 아사노 도요미(淺野豊美) 와세다(早稻田)대 교수는 “학문의 자유가 걸린 문제가 재판정에 오른다고 하면 사회의 진화·발전이 멈춘다”는 의견을 냈다.
<도쿄|윤희일 특파원 yhi@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호 헌법연구관’의 확신 “윤석열, 만장일치 파면…기각 땐 군사 독재 시대로”
- 국힘 김미애, 장제원 겨냥 “누구든 돈과 권력으로 범죄 저질러선 안돼”
- 탄핵 선고 앞두고…윤 대통령·신평·전한길 등 책 출간 “계엄으로 ‘진보귀족’에 저항”
- “시끄러워!”…부산교육감 선거 유세장에 음료수 깡통 던진 50대 취객 입건
- 장제원 사망에 여당 “마음 아파” “명예훼손 말라”…피해자 언급은 없어
- “붕괴 이전으로 돌아가요”…박해일 등 영화인 1025명 ‘윤석열 파면’ 성명
- “산불 지를 거니 소방관들 각오해라”…방화 예고글에 경찰 작성자 추적
- 최종 변론 뒤 38일…헌재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 왜 이렇게 늦어졌나
- ‘전자칠판 비리’ 구속된 인천시의원 2명, 2억2000만원 뇌물 챙겨
- [속보]권영세 “탄핵 기각 희망하지만, 어떤 결론 나오든 당연히 승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