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신경안정제 부작용 알고도 30년 묵살 충격

2010. 11. 8. 15: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신경안정제, '벤조디아제핀' 뇌 수축 부작용 제기

영국에서 널리 쓰이는 신경안정제 '벤조디아제핀'의 심각한 부작용에 대한 보고서가 30년 동안 묵살됐다는 사실이 밝혀져 의료계가 충격에 빠졌다.

'코메디닷컴'에 따르면 영국의 저명한 정신의학자가 '벤조디아제핀'으로 뇌가 수축된다고 문제를 제기했지만 의학연구예산 집행을 결정하는 심의기관은 이를 묵살했다. 영국에서만 그동안 수 백 만 명의 피해자가 생긴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엄청난 피해가 생겼을 것으로 보고 있다.

'코메디닷컴'이 영국의 일간지 인디펜던트 지 등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1982년 영국 의학연구심의회(MRC)의 전문가들은 정신의학연구소 말콤 레이더 명예교수가 벤조디아제핀을 복용하면 만성 알코올 중독자들에게 나타나는 뇌 수축 현상과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자 장기조사가 필요하다고 동의했지만 이후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더구나 MRC는 해당 보고서를 2014년까지 비공개로 분류했고, 레이더 교수의 문제 제기와 관련한 어떤 대책회의나 연구도 실행하지 않았다. MRC가 한 조치는 20번 남짓의 동물 실험에 대한 연구 지원 뿐이었다. 1995년 히더 애쉬톤 뉴캐슬 대학교 명예교수가 이 약의 장기 부작용에 대해 조사하겠다고 MRC에 연구비 신청을 했지만 역시 거부당했다. 이 약은 60년대 처음 출시됐을 때 인체에 무해하다는 광고로 사랑받으며 출시 10년 만에 세계적으로 가장 잘 팔리는 약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영국에서는 지난해 2000만 건 이상이 처방됐으며 150만 명 이상의 피해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레이더 교수는 이 약을 복용하면 뇌가 수축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고 중독이 되면 타는 듯한 기분, 시야의 일그러짐, 두통과 같은 금단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비자발적 신경안정제 중독 해결을 위한 초당적 의회 협의회'의 짐 도빈 의장은 '인디펜던트'와의 인터뷰에서 "약을 끊고도 정신적, 육체적 문제에 시달리는 피해자가 많다"며 "MRC가 왜 이런 심각한 부작용이 의심되는 약에 대한 어떠한 검증 작업도 없었는지 그 스캔들에 대해 철저히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법 전문가 캐서린 홉킨스도 같은 언론에 "피해자가 많은 만큼 이번 사태는 정부를 상대로 한 가장 큰 건의 소송이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벤조디아제핀은 불안, 스트레스, 불면증, 근육 경련 등에 처방되고 있으며 최근 각종 부작용이 불거져 나오고 있다. '코메디닷컴'은 이 약이 우리나라에서 로라제팜, 디아제팜, 클로티아제팜 등의 성분명으로 팔리고 있으며 대표적 오남용 우려 의약품으로 꼽힌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감사원이 발표한 식품의약품안전청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감사결과에 따르면 4~12주 이상 처방해서는 안 되지만 12주 이상을 처방한 사례가 무려 6만1351건이나 됐다는 것이다.

현재 영국에서 벤조디아제핀은 최대 4주치만 처방이 가능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무제한에 가깝게 처방되고 있다고 '코메디닷컴'은 전했다.

 e뉴스팀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한겨레> [ 한겨레신문 구독| 한겨레21 구독]

공식 SNS 계정: 트위터 www.twitter.com/hanitweet/ 미투데이 http://me2day.net/hankyoreh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