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집권당 다수 불구 연정 구성 불투명..안갯속으로
(서울=뉴스1) 이준규 기자 = 스페인 총선에서 좌·우 신생 정당들이 돌풍을 일으키며 30여년간 지속된 양당체제가 무너졌다. 집권 국민당(PP)은 제1당 자리를 수성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단독 과반에 실패하면서 연정 파트너 찾기에 돌입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치러진 스페인 총선에서 집권 국민당이 총 350석의 하원 의석 중 123석을 차지하며 1당 자리를 지켰다.
그러나 득표율은 28.7%에 불과했으며 의석수도 지난 2011년 총선의 186석과 비교했을 때 63석이나 줄어들면서 단독 과반(176석)에 실패했다.
국민당과 오랜 양당체제를 구축해왔던 사회당(PSOE)도 의석이 줄어들기는 마찬가지였다.
지난 총선에서 110석으로 제1 야당이 됐던 사회당은 90석, 22.0%의 지지율을 얻어 2위 유지에 만족해야 했다.
이번 선거의 주인공은 신생 정당임에도 다수의 의석을 확보한 급진좌파 '포데모스(Podemos·우리는 할 수 있다)'였다.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좌파 연합에 참여해 스페인 제1, 제2의 도시인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 모두에서 시장을 배출하는데 큰 역할을 한 포데모스는 처음으로 참여한 이번 선거에서 69석, 20.6%의 지지율을 얻는 기염을 토했다. 단숨에 제3당으로 부상한 포데모스는 향후 정부 구성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미칠 수 있게 됐다.
또 다른 신생정당인 중도우파 '시우다다노스(Ciudadanos·시민) 또한 포데모스와 함께 대형 정당으로 자리매김했다. 시우다다노스는 40석, 13.9%의 득표율을 얻으며 제4당에 올랐다.
이로써 지난 1978년 스페인에 민주화가 이뤄진 후 정권을 주거니 받거니 했던 국민당과 사회당의 양당 체제는 30여년 만에 마무리됐고 누가 차기 정부 수반이 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 펼쳐졌다.
국민당은 선거에 승리했다면서도 당장 차기 정부 구성을 위해 연정 구성에 나서야 하는 현실을 직시했다. 국민당을 이끌고 있는 마리아노 라호이 총리는 선거 결과 발표 직후 "쉽지 않은 시기가 시작될 것"이라며 "협정과 합의가 필요하며 곧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파 정당인 국민당의 연정 상대로는 친 시장 성향의 시우다다노스가 가장 먼저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두 정당의 의석을 모두 합해도 163석에 불과해 과반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다.
라호이 총리를 비롯한 국민당 고위 인사들이 정치자금 수수 등 비리 혐의를 받고 있는 점도 부담스럽다.
알베르트 리베라 시우다다노스 대표는 "현 정치권을 부패하게 만든 사람들은 비판을 받아야 한다"며 국민당 비리 연루 인사들을 싸잡아 비난한 것은 물론 총리로 라호이 총리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말해왔다.
다음으로 유력한 국민당의 연정 대상은 중도 좌파 성향인 사회당이다.
양당체제 당시에는 정권을 창출하기 위한 라이벌이었지만 신생 정당들의 약진으로 인해 모두 구(舊)시대 정당이 됐으며 중도 성향이라는 공통점도 가지고 있다.
기성 거대 정당이 연정을 구성하게 되면 213석을 확보하게 돼 안정적인 국정 운영이 가능해진다.
반면 성향 차가 뚜렷한 급진좌파인 포데모스나 공산당 주도의 좌파연합(IU)과 손을 잡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국민당이 과반 연정을 구성하지 못한 가운데 좌파가 먼저 과반 연정을 이룰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사회당이 포데모스와 손을 잡은 후 국민당 정권에 염증을 느껴온 IU(4석)를 비롯한 군소 정당들을 설득한다면 국민당을 제치고 정권을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분리독립을 원하고 있는 카탈루냐 지방 정당에 더 많은 자치권 등을 약속해야 하기 때문에 순탄하게 연정이 이뤄질지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우선 내달 13일 새 의회 출범에 맞춰 정부를 출범시키려면 스페인 국왕인 펠리페 6세는 총리 후보자를 지명해야 한다. 펠리페 6세는 각 정당이 내세운 총리 후보(대개는 당 대표)를 만난 후 국회의장과 논의해 이 중 1명을 지명하게 된다.
지명된 후보자가 의회 신임투표에서 과반 득표(176표 이상)에 실패할 경우 48시간 이내에 2차 투표가 진행되는데, 이 때는 찬성표가 반대표보다 많기만 하면 신임이 이뤄지는 것으로 요건이 완화된다. 후보자가 여기서도 신임에 실패할 경우 국왕은 다른 당의 새 총리 후보를 지명하게 된다.
다만 연정 구성기간은 협상의 어려움을 고려해 마감시한이 정해져 있지 않다. 그러나 어떤 후보도 의회 신임을 이끌어내지 못한다면 2개월 이내에 조기 총선이 치러지게 된다.
총리 후보에 대한 자격 규정은 없지만 1977년 이후 치러진 11차례의 총선에서는 모두 제1당의 후보가 후보자로 지명됐다. 아울러 모든 총리 후보가 지명 1개월이 지난 후부터 2개월이 지나기 전까지 정부 구성에 성공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총리 신임 과정이 그 어느 때보다 어렵고 복잡하게 진행될 것이라며 험로를 예고했다.
findlove@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영어' 하루 30분으로 미국인 되는 법..놀랍네
- 11세 딸 감금 폭행 아버지 "나도 어렸을 때 학대당했다"
- "터닝메카드 또 사?"..'정품만 72개' 손오공 상술에 속타는 부모
- "무시하고 때려서.." 60대女, 50대 내연男 죽이고 자살
- '방범창때문에 탈출 못해'..아파트 화재로 숨져
- 챗GPT에 尹선고 결과 예상 물어보니…"인용 가능성 90%, 기각 10%"
- "전남편 닮아가는 두 아들에 짜증…성교육은 어떡하나" 지쳐버린 싱글맘
- "시부모 안 재워주고 보낸 아내에 복수…6시간 걸려 온 장모님 못 자게 했다"
- "키스신 본 딸 '아빠랑 이모도 서로 사랑하나'…남편과 여동생 불륜 발각"
- "우리나라 다 태우겠네"…북한산서 외국인들 대놓고 담배 '뻑뻑'[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