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파무크 "터키, 공포체제로 이행..사상의 자유 죽었다"(종합)

2016. 9. 12. 15:1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 언론에 지식인 40명 공개서신..에르도안 정권 '숙청' 날선 비판
2006년 이스탄불에서 자신의 작품 제목과 같은 '순수 박물관' 개관 행사에서 발언하는 오르한 파무크.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이탈리아 언론에 지식인 40명 공개서신…에르도안 정권 '숙청' 날선 비판

(이스탄불=연합뉴스) 하채림 특파원 = 터키 지식인의 상징이자 노벨문학상 수상작가로 한국에서도 잘 알려진 작가 오르한 파무크가 에르도안 정권을 향해 포문을 열었다.

파무크는 11일 이탈리아 언론 라레푸블리카 1면에 실린 공개 서신에서 "터키에 사상의 자유는 더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

그는 "우리(터키)는 정부에 대해 조금이라도 비판의 목소리를 낸 모든 사람을 계속 잡아들이고 있다"며 "우리는 법치국가로부터 광속으로 멀어져 공포정치체제로 향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쿠데타 이후 대량 해고와 구금의 근원에는 '포악한 증오'가 도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파무크는 에르도안 정권에 비판적인 시각을 꾸준히 드러낸 지식인이지만 이번 쿠데타 이후 숙청에 관한 공개적인 견해 표명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터키 언론은 파무크의 공개서신 내용에 침묵하고 있다.

파무크는 올해 6월 같은 이탈리아 언론과 인터뷰에서는 "터키는 지난 15년간 급격하게 변했다. 민주주의 축소와 표현의 자유 억압 등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자신의 소설 '순수 박물관'에서 영감을 얻은 영화 제작을 돕느라 이탈리아에 체류 중이다.

파무크는 '하얀성', '내 이름은 빨강', '눈' 등의 작품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2006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이날 라레푸블리카에는 파무크 외에도 영국의 사회비평가이자 부커상 수상작가인 존 버거 등 지식인 약 40명이 터키정부의 '마녀사냥'을 비판하며 언론인 등의 석방을 촉구하는 서신이 실렸다.

터키정부는 쿠데타 수사 과정에서 쿠데타와 직접 관련성이 없는 지식인과 언론인도 대거 연행했으며, 언론사 150여 곳의 문을 닫았다.

가장 최근에는 저명한 언론인 아흐메트 알탄과 동생 메흐메트를 쿠데타 연루 혐의로 이달 10일 구금했다. 검찰은 알탄 형제가 쿠데타 전날 방송된 TV 프로그램에서 쿠데타 개시를 암시하는 언급을 했으며, 이는 이들이 쿠데타 배후세력과 연계된 증거라는 주장을 펼쳤다.

같은 방송에 출연한 언론인 나즐르 을르작은 앞서 7월말 연행돼 조사를 받았다.

tree@yna.co.kr

☞ "담배 안피운다는 엄마한테 담배 냄새가 나요"
☞ 제주 음식점서 중국인 관광객 8명이 여주인 집단 폭행
☞ '타이어노예' 10년간 공포에 떨게 한 폭행도구는…
☞ '잠적설' 방송인 최양락 "그냥 집에 있었다"
☞ 딸이 맞았는데…'사고'로 조작 억대 보험금 타낸 어머니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